“챗GPT 써보셨어요?” 이 물음 하나가 요즘 교육계에서 인사말을 대신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교육계 또한 관심이 뜨겁다. 교원들은 AI를 수업과 접목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가 AI 기반디지털교과서를 2025학년도부터 도입한다는 말에 더욱 촉각을 세우는 모습이다. 잘 활용한다면 교사와 학생 모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지나친 의존은 금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AI교육의 현황, 활용방안 등을 통해 미래교육의 나아갈 점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챗GPT는 지난해 11월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유용한 검색, 작문, 대필, 획기적 아이디어 제공 등에 대한 기대로 너도나도 ‘배우기’에 빠져들었다. 출시 2개월 만에 월 사용자 1억 명을 돌파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빠른 기록이다. 종전 기록은 ‘틱톡’의 9개월이다.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인 ‘인스타그램’은 30개월 만에 달성했다.
우리나라에서도 3명 중 1명은 챗GPT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월 22∼28일 전국 성인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세대별로는 ‘X세대(1975∼1984년생)’에서 한 번 이상 사용해봤다는 응답 비율이 4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MZ세대(1985∼2010년생)’는 40.2%, ‘베이비부머세대(1955∼1974년)’는 29.2%였다.(세대 구분 서울대 인구학연구실 기준) 챗GPT 결과 내용에 대한 신뢰도는 ‘보통이상’이 90%에 육박했다. 보통 응답 비율이 62.1%였고, 신뢰한다(그렇다+매우 그렇다)는 응답비율은 27.4%였다. 신뢰하지 않는다(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는 비율은10.5%였다.
보통이상의 신뢰도를 보인 비율은 연령대와 비례했다. 베이비부머세대(93.1% ), X세대(91.5%), MZ세대(83.4%) 순이다. 대부분 세대에서 보통이상의 신뢰도를 보인 점은 눈여겨볼 대목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 같은 현상은 교육계, 기업계, 정부 등 거의 모든 기관이 AI시대 대비를 위해 발걸음을 재촉하는 이유기도 하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코로나19로 학습이 부진한 학생 대상으로 AI 학습기기를 통한 맞춤형 교육에 이미 나선 상황이다. 2025년에는 맞춤형 교육에 한 발 더 다가서기 위해 AI를 접목한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기로 했다.
AI시대에 새롭게 나타날 직업에 대한 대처도 범정부 차원에서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AI시대 1호직업 이라는 ‘프롬프트엔지니어’가 고액 연봉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아직 육성 방안이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연구가 우선이라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대학 등 학교에 둘 것인지, 교육 내용 기간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프롬프트엔지니어란 AI가 사실에 더 가까운 답변을 내놓도록 다양한 목적의 명령어(프롬프트)를 만들어 입력하고 테스트하는 일을 한다. ‘AI 조련사’라는 별칭으로 더욱 유명하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출신들이 만든 미국의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은 최근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구인하면서 연봉 약 4억4000만 원(33만5000달러)을 제시해 화제가 됐다. 우리나라에서도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대 1억 원 연봉을 내걸고 공개채용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