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 여린 나뭇잎의 연둣빛은 설렘으로 다가온다. 담장 넘어 햇빛에 투영된 감나무 이파리의 연둣빛은 눈부시다 못해 유혹으로 망막에 내려앉는다. 이 달보드레한 연둣빛을 보며 우리의 삶도 연둣빛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꿈꾸지만 일 년 중 연둣빛 향연을 볼 수 있는 시기는 잠깐이다.
연둣빛 삶이란 어떤 것일까? 미국의 동화 작가 타샤 튜더는 말했다. “무엇이든 마음만 먹으면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이 지천으로 널려 있답니다. 인생은 결코 긴 게 아니에요. 우물쭈물 멍하게 있다 보면 어느새 인생은 끝나 버린다.” 타샤의 말은 아름다운 시간은 짧은 시간에 지나가지만 우리는 언제나 어떤 시간이든 마음만 먹으면 연둣빛 삶을 바꿀 힘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세상살이란 의도한 대로 살아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어떤 일이든 처음 시작하는 새내기에게 일상을 연둣빛 삶에 견준다는 것은 무리수가 아닐까?
5월 초 며칠간의 연휴였다. 지난 2월 꽃샘바람이 요동치는 가운데 졸업하고 한동안 둘째 아이를 보지 못했다. 항상 노심초사하는 가운데 연휴 기간에 집에 온다고 하니 반가워 몇 번이나 달력을 쳐다본다. 그런데 날씨는 비바람으로 시작된다. 연휴 시작 전날 늦은 시각, 어둡기 전 인근 도시 역에 도착할 것이라 하여 데려올 채비를 하고 있는데 시간 착오로 열차 편을 놓쳐 겨우 한 좌석 남은 고속버스로 온다며 알려온다. 몇 시간이라도 빨리 볼 수 있어 좋다고 했는데, 예정 시간보다 4시간이나 늦어진다고 하니 낭패였다. 게다가 날씨도 고르지 못한데 데리러 가는 곳까지 밤길 운전도 걱정이 되었다. 예상대로 비 내리는 고속도로는 맑은 날에 비하여 어둡기만 하고 느린 속도는 마음에 조바심을 몰고 온다. 밤길을 달리며 졸업 후 원룸에 데려다주고 돌아오면서 떠올린 기억이 되살아난다. ‘자식은 내 몸 빌어 이 세상에 나온 한 줄기 꽃바람이다. 단잠 속 아스라한 꿈길에서조차 마음의 문밖을 서성이는 애잔한 바람 한 줄기로, 애틋한 눈물 바람이 되어 늘 가슴에서 가슴으로 불어대는 존재다.’
가슴 아픈 일이 있었다. 4월 초였다. 한적한 농촌 소도시에서 대학교 생활을 하다 북적이는 수도권에 자리를 잡고 시작한 출근길은 그 자체가 낯선 환경이었던가 본다. 그날도 비가 내리는 날이었다. 늦은 저녁 시간 아이의 목소리가 아내의 전화기 속에서 아른거렸다. 무슨 일 있냐고 하자 엄마 목소리가 듣고 싶어서라고 울먹였다.
사연인즉 이랬다. 인파에 떠밀리다시피 내려가는 출근 시간 지하철 계단, 그날따라 마음이 바빠 발을 헛디뎌 발목을 삐끗 넘어졌단다. 그 바람에 계단에 나뒹굴면서 무릎의 살이 찢기고 피가 흐르는데 너무 아파 숨도 못 쉴 지경이었단다. 더한 것은 사람이 넘어져 피가 흐르는 무릎을 부여안고 있는데도 지나는 인파는 모두 무심했단다. 그 상황이 너무 서러워 생각나는 사람은 엄마뿐이라고 하였다.
“엄마 내가 운 것은, 단지 넘어져 다쳐 아픈 것 보다, 그 상황을 내 일 아니라는 듯 지나는 사람의 모습이 너무 낯설고 차가워서 그랬어. 그때 생각나는 것은 어릴 적 내가 넘어졌을 때 토닥여 주고 일으켜 세워주는 엄마 생각뿐이었어.”
이 말을 듣는 순간 당장이라도 달려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회색 도시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포장된 도시인의 마음은 이미 삶이란 경쟁에 감성도 메말랐을 것이다. 딸아이는 겨우 난간을 잡고 찢어진 바지, 피에 젖은 차림으로 겨우 학교에 도착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오후에 병원을 찾으니 다행히 골절은 없고 상처만 치료하면 될 것 같아 안도하였지만, 그 지나는 사람의 무심한 눈빛은 잊히질 않는다고 하였다.
고속도로를 벗어나 도심에 접어든다. 버스터미널로 향하는 도로는 검은 빗물이 넘친다. 다친 상처는 아물었는지 이 생각 저 생각을 쓸어내리며 1시간이나 빨리 기다림을 시작한다. 도시의 버스터미널은 역보다 협소하다. 늦은 저녁 대합실엔 빗물이 흐르고 습기로 가득하다. 표 사는 창구 위엔 목적지와 출발 시각, 요금을 알리는 녹색, 붉은색 전광판이 늘어져 있다. 출발하는 쪽 보다 도착하여 기다리는 쪽 사람이 여럿 보인다.
드디어 출발지를 표시한 아이가 탄 버스가 홈으로 들어온다. 버스를 보는 순간 눈 부신 햇살에 푸른 꿈을 꾸는 연둣빛 그리움들이 한꺼번에 일어선다. 반가움에 내려서는 아이의 손을 덥석 잡는다. 이 여린 손으로 어떻게 지냈을지 가슴이 뭉클해진다. 다시 왔던 길을 돌아서 비바람 속으로 차를 달린다. 이제는 조바심보다는 편안함이 묻어난다. 1시간여 거리를 오는 동안 아이는 잠깐 눈을 붙인다. 반대편 차의 전조등이 스며들 때마다 아이 얼굴에 붙은 물기를 머금은 머리카락이 그동안 흔적을 말하고 있다. 마음이 짠하다. 이런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연휴 내내 짓궂은 날씨는 계속되었다.
돌아가는 차편은 열차였다. 빗속을 달려 도착한 역의 플랫폼엔 송홧가루가 빗물에 얼룩지고 있다. 멀어지는 열차를 보며 잘할 거라고 위안하지만, 여운을 남기고 사라진 열차의 붉은 후미등 잔상이 옅어질 무렵 마음에는 굳은살이 박인다. 이제 아이를 생각하는 마음은 애잔한 꽃바람에 연둣빛 그리움을 더하고 있다.
이 그리움이 누군가에겐 행복의 사랑으로 다가오는 기쁨이지만, 또 누군가에겐 떠난 사람 뒤에 오는 슬픔의 얼굴을 가진 차가운 비수가 될 수도 있다. 쉽게 찢기고 상처 나는 우리의 삶이다. 그 속에 새내기의 4월 연둣빛은 그리움은 아니었을 것이다. 5월이 반을 지나고 있다. 연둣빛은 신록의 짙은 정열로 여물고 새내기 딱지도 떨어질 것이다. 새내기 꽃 진 자리에 야물어져 기쁨을 느끼며 무엇이든 즐겁게 일하는 모습이 영글기를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