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오전 11시 서울 숭곡중 급식실. 점심 식사를 준비하는 냄새가 조리실에서 새어 나왔다. 배식을 앞두고 분주한 조리사들 사이로 사람 키보다 큰 로봇 네 대가 눈에 들어왔다. 그중 하나는 이날 점심 메뉴의 하이라이트인 양념통닭을 튀겨내고 있었다. 튀김 요리를 전담하는 로봇 ‘숭바삭’이다. 로봇은 손질된 닭을 뜨거운 기름에 쏟아 넣고 정해진 조리 시간이 끝나자, 닭튀김을 건져 올렸다. 이후 조리사가 완성된 닭튀김이 잘 익었는지 확인한 후 배식 통에 옮겨 담았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숭곡중에서 국내 첫 학교 급식 로봇을 공개했다. 급식 로봇 개발을 위해 교육청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한국로보틱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진행하는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시범사업에 공모해 사업비를 지원받았다.
학교 급식 로봇 운영 시범학교인 숭곡중에는 지난 8월 급식 로봇 4대가 도입됐다. 튀김 요리를 담당하는 ‘숭바삭’과 볶음 요리를 하는 ‘숭뽀끔’, ‘숭고기’, 국, 탕을 만드는 ‘숭국이’ 등이다. 학생들이 직접 로봇마다 이름을 붙였다.
숭곡중에서 근무하는 영양사와 조리사들은 지난 석 달 동안 이들 로봇과 손발을 맞추면서 100여 개의 레시피를 만들고, 업그레이드를 이어가고 있다. 로봇을 개발한 한국로보틱스 관계자가 학교에 머물면서 이 과정을 지원한다.
한국로보틱스 관계자는 “입력값에 따라 어떤 요리든 만들 수 있다”면서 “재료 손질은 사람이 하고 조리 과정 전체를 로봇이 담당하게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로봇과 사람이 함께 일하는 만큼 사고 방지 장치도 갖췄다. 이 관계자는 “조리사가 접근할 수 있는 구역을 정해놓고, 구역을 넘어서면 센서가 작동돼 로봇이 멈추게 된다”고 덧붙였다.
급식 로봇의 장점으로는 안전과 업무 강도 감소를 꼽는다. 김혜영 영양사는 “튀김 요리를 만들 때 2~3시간 정도 튀김기 앞에 서 있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급식 로봇 덕분에 조리사들의 조리흄 노출이 줄고, 튀김 상태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요리 매연’으로 불리는 조리흄은 폐암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로 숭곡중에 급식 로봇 도입 후 조리흄 평균 노출 시간이 튀김의 경우 122분에서 9분으로 줄었음을 확인했다.
교육청은 급식 로봇이 학교에 도입되면 급식조리원 인력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희연 교육감은 “서울 내 급식조리원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조리 종사원 인력이 부족한 학교를 중심으로 급식 로봇이 도입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급식 로봇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학생회장 조형찬 군은 “급식실 아주머니들의 손맛이 안 들어가서 맛이 없을 줄 알았는데 로봇이 고수처럼 만들어줘서 더 맛있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부회장 한다희 양도 “튀김은 예전보다 더 맛있어진 것 같다. 예전에는 바삭함의 차이가 있었는데 이제는 전체적으로 다 바삭바삭하다”며 웃었다.
김명교 기자 kmg8585@kf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