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로 브랜딩하기] 일은 AI가, 돈은 내가?

2024.11.11 09:00:28

이 글은 유료다. 필자는 칼럼을 한 편 쓸 때마다 신문사로부터 원고료를 받는다. 그러니 글을 대충 쓸 수 없다. 그렇다면 필자가 글 한 편을 쓸 때 쏟아붓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솔직히 말한다. 이 칼럼 쓰는 데 10시간 걸렸다. 글감 선정에 두 시간, 개요 짜는 데 두 시간, 본문 쓰는 데 세 시간, 다시 읽고 고치는 데 세 시간. 총 열 시간이다. 물론 이 과정은 한 달이 넘게 걸린다. 특히 퇴고 때문인데, 한 달은 묵혀야 자식 같은 글에 대한 애정이 식기 때문이다. 그래야 내 원고를 가차 없이 난도질할 수 있다.

 

클릭 한 번에 원고 한 편이?

 

하지만 클릭 한 번에 이 모든 걸 해치울 수 있다. 그 도깨비방망이는 바로 AI다.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클로드’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말이다. 그 친구들에게 칼럼 한 편 뽑아달라고 하면 5초 만에 뚝딱 해결해 준다. 그럼, 어디 한 번 실력 좀 볼까?

 

“내가 여태까지 제출한 원고 23편을 복사해서 넣어 줄게. 이걸 ‘알뜰살뜰 구구샘의 한국교육신문 원고’라고 학습해.”

 

먼저 내가 여태까지 썼던 모든 칼럼을 학습시켰다.

 

“이제 24번째 칼럼을 쓰자. 조건은 다음과 같아. 첫째, 내 문체 느낌이 나게 쓸 것. 둘째, 한국교육신문 칼럼 톤 앤드 매너를 갖출 것(아까 준 23편으로 학습해). 셋째, ‘AI보다 인간이 직접 글 쓰는 게 중요하다’라는 주제가 드러날 것. 아참, 분량은 1800자에서 2000자 사이로 끊어 줘.”

 

엔터를 치는 순간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났다. 5초도 안 걸렸기 때문이다. 2000자 글을 뽑아내는 데 정확히 3초 걸렸다. 심지어 고대 유물 같은 내 구닥다리 노트북으로 말이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AI가 뽑아낸 글을 읽어봤다. 그런데 급격히 심박수가 떨어졌다. 너무 재미가 없었기 때문이다. 몇 번이고 다시 읽어도 마찬가지였다. AI가 쓴 글은 맞춤법도 다 맞았고,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도 완벽했다. 그런데 뭐가 문제였을까? 고심 끝에 원인을 찾았다. 범인은 바로 도망간 ‘글맛’이었다!

 

AI가 쓴 글은 맛이 없었다. 아무리 AI를 다그쳐도 똑같았다. MSG를 팍팍 쳐달라고 요청해도 마찬가지였다. 뭔가 밍밍했다. 필자는 고민했다. 그리고 깨달았다. ‘AI는 죽었다 깨나도 모르는 3가지’를 말이다.

 

1. 직접적인 경험

2. 생각, 느낌, 견해

3. 저자만의 문체

 

첫째, AI는 직접 경험할 수 없다. 오직 인간들이 남긴 경험의 부스러기만 먹을 뿐이다. AI는 진해 벚꽃축제에서 파는 벚꽃 빵이 무슨 맛인지 알 길이 없다. 사천 에어쇼에서 블랙이글스 전투기 8대가 곡예비행을 할 때 사람들 팔에 돋는 ‘닭살’이 무슨 느낌인지 상상할 수도 없다. 유난히 더웠던 여름을 뒤로하고 무심히 피어난 마산 국화축제의 꽃들이 어떤 향기를 내뿜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간은 다르다. 그 모든 게 너무나도 쉽다.

 

둘째, AI는 자기 생각이 없다. 원론적인 말만 할 뿐이다.

-진해 벚꽃 빵 맛있어? 맛없어?

-블랙이글스 전투기 조종사 8명 중 가장 실력이 뛰어난 사람은 누구야?

-전국 국화축제 중 가장 예쁜 곳 딱 한 곳을 골라줘

 

답변은 다 원론적이었다. AI는 죽어도 자기 생각을 말하지 않았다. ‘벚꽃 빵은 맛있을 수도 있고 맛없을 수도 있어요’, ‘조종사 8명 모두 뛰어난 실력자입니다’, ‘전국 국화축제는 모두 다 예뻐요. 서울대공원, 마산, 함평, 익산, 부여…. 다 좋아요’라고 답할 뿐이었다.

 

AI가 쓴 글에 없는 것들

 

셋째, 저자만의 독특한 문체를 AI는 전혀 살리지 못했다. 필자는 칼럼 23편을 AI에게 학습시켰다. 그리고 필자의 문체를 꼭 살려 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결과물은 실망스러웠다. 전혀 필자의 B급 감성을 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필자는 4년째 블로그 글쓰기 교육을 하고 있다. 진도가 빠른 학생들에겐 AI를 활용한 글쓰기도 알려줬다. 5초 만에 2000자짜리 글을 마주한 학생들의 반응은 모두 같았다. 처음에는 놀라지만, 나중에는 그 글을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글맛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글은 직접 쓰자. AI는 보조로만 활용하자.

 

아! AI가 3초 만에 쓴 칼럼이 궁금한가? 필자의 블로그에 들어오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 읽고 있는 이 글과 AI가 쓴 원고를 비교해 보시라. 이 글이 적어도 10배는 더 맛있을 것이다. 필자의 내년 정근수당을 걸고 장담한다.

구민수 경남 금산초 교사 (‘알뜰살뜰 구구샘’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 브런치 운영)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