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속 교실혁신 모델 제시
디지털 전환 속 교실은 ‘맞춤화·주도성·사회참여’라는 세 축 위에서 다시 설계돼야 한다. 이번 수업나눔 사례에서는 그 세 축을 구현한 세 가지 수업모델을 병렬로 제시한다.
AI 코스웨어는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 경로를 제안해 학습 기초를 다진다. 거꾸로학습과 배움노트는 가정과 교실을 연결하며, 학생이 스스로 오류를 탐색하고 피드백을 주도하게 한다. DATA 기반 AI 프로젝트는 데이터를 수집·분석·모델링하여 실제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끈다.
교사는 세 모델을 조합해 학급 맥락에 맞는 융합형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은 자율적 학습자이자 공동체 기여자로 성장한다. 세 모델은 독립적으로도 적용 가능하지만, 함께 운영될 때 데이터 분석과 정서 지원, 사회 참여가 상호 강화되어 교실혁신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모델❶ _ AI 코스웨어로 맞춤 학습의 기초 다지기
● 배경과 준비
플랫폼 도입 초기 일부 교사는 ‘데이터 화면 해석이 어렵다’는 불안을 표했다. 이에 학년 대표 교사들이 TF를 꾸려 에듀테크 다모임과 실습 연수를 운영했고, 작은 성공사례를 빠르게 공유해 거부감을 줄였다.
● 운영
학생들은 사고력 진단평가와 컴퓨팅 사고력 테스트로 수준을 확인하고, AI 코스웨어가 제안한 개인화 경로로 학습을 시작했다. 교사는 대시보드에서 체류 시간, 재도전 횟수, 오답 유형을 실시간 확인해 월 단위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