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어린이’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2008.08.23 10:07:05

제24회 한일교육연구발표회 동경서 열려

韓- 준비 없이 맞은 다문화 사회…학교 ‘당황’
日- 교육부부터 학교까지 체계적 교육 시스템


교총과 일본교육연맹이 양국의 교육발전과 문화교류를 위해 1980년부터 추진해온 한일교육연구발표회가 21일 동경 가든 팰리스호텔에서 열렸다.<사진>




24차로 열린 이번 발표회서는 양국 모두 첨예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학교 교육활동’을 주제로 다뤘다.

한국서는 정수만 교장(경북 상주 모서초․중), 일본 측은 도미이 마사쓰구 교장(신주쿠 주립 오쿠보소학교)이 각국 사례를 발표했다.

일본 오쿠보소학교의 사례 발표는, 시작 단계에 불과한 우리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학교 교육에 상당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일본의 국제이해 교육
도미이 마사쓰구 교장이 밝힌 법무성 자료에 의하면, 일본에는 2005년 현재 201만 여명의 외국인이 등록돼 전체 인구의 1.57%를 차지하고 있다. 도쿄도에 등록된 외국인수는 2007년 1월 현재 37만 1375명으로 지난 5년간 3만 6천명 늘었으며 도쿄도민 34명 중 1명이 외국인이다.

일본은 교육기본법에서 규정한 국제이해교육을 문부과학성, 도교육위원회, 학교 차원에서 비교적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교육기본법에서는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이를 육성해 일본과 향토를 사랑함과 더불어 다른 나라를 존중하고 국제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으로 국제교육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문부과학성은 귀국 자녀 및 외국인 자녀 학생 수용 촉진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초중등교육 국제교육추진검토회의보고서에서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을 수용하고 공생할 수 있는 태도 및 능력을 기르고 ▲자국의 전통과 문화에 뿌리 내린 자아 확립을 주요 교육 방향으로 설정했다.

도쿄도교육위원회서는 ▲국제이해교육추진위 운영 ▲도립국제고에서의 교육 ▲도립고교에 국제이해교육 코스 설치 ▲학교 차원의 국제 교류(외국 방일단 학교 방문) 등 다양한 국제 이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귀국 자녀와 외국인 자녀 학생을 위해 ▲도립고에 귀국학생을 위한 학급 ▲일본어 학급 ▲외국인 자녀에게 일본어를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양성 연수(독립행정법인 교원연수센터) ▲귀국 및 외국인 자녀 학생 교육연구협의회(문부과학성)를 두고 있다. 이외 교직원연수센터에서의 연수, 외국인 자녀 학생용 일본어 교재 등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국제이해 교육
정수만 교장의 발표<아래 사진>에 따르면, 2007년 8월 현재 한국 체류 외국인은 100만 254명으로 주민등록인구의 2%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도에 비해 그 수는 15% 늘었다.

정 교장은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마음의 준비와 사회적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당황하고 있으며, 이런 혼란은 고스란히 학교로 옮겨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범 교과 주제의 하나로 ‘다문화 교육’을 도입했지만,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개념과 교육 대상, 교육 내용이 명확치 않아 혼란스런 상황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가 5명인 모서초․중학교도 관련 자료와 전문 인력, 예산 확보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모서초․중학교는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점에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고 ▲전체 학생 및 학부모 ▲다문화 가정 학생 및 학부모 ▲행동 부적응 학생으로 교육 대상을 구분했다.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의 학교 적응을 위해서, 내년 1월말까지 대학생 봉사자가 학교나 가정에서 일대일로 부진한 교과를 60시간씩 보충지도 하고 있다.

또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 시간을 활용, 저학년은 월 20시간 고학년은 40시간씩 컴퓨터 활용 및 미술, 스포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정 교장은 “다문화 교육은 특정 교육 단원보다는 교육과정의 모든 생활 영역에 스며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또 “결혼 이민자 가족 자녀들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과정 모형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민자 부모들이 효과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종찬 chan@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