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여러분, 여기 성냥개비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퍼즐이 있습니다. 여기서 성냥개비 두 개만 위치를 옮겨 물고기의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을까요?”
19일 경기 인계초 4학년 1반 수학 수업시간. 학생들이 고개를 갸우뚱하며 고민에 빠졌다. 자신 있게 손들고 나온 친구가 틀리자 학생들이 여기저기서 ‘저요’, ‘제가 해볼게요!’ 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전 교직원 공개수업으로 진행된 이날 수업은 조금 특별했다. 다름 아닌 이 학교 김재현 교장이 특별교사로 나섰기 때문.
수업은 성냥개비로 만든 5X5 네모 칸 퍼즐에서 구할 수 있는 정사각형을 모두 찾아보는 것으로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이 주된 목표다. 김 교장의 능숙한 진행에 학생들은 50분 동안 집중력을 잃지 않고 참여했다. 학생들은 규칙을 발견하고, 귀납적 사고와 일반화의 생각 등 문제해결 방법과 관련된 수학적 생각들을 해내 참관 교원들을 놀라게 했다.
박수빈 양은 “보통 수학시간은 문제풀이만 하는 지루한 시간으로 기억되는데, 교장선생님께서 창의적으로 생각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셨다”며 “평소 교장선생님 하면 어려운 이미지인데 수업을 하면서 더 친근하게 느껴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 교장이 수업에 나서게 된 건 수업공개에 대한 평소 신념 때문이었다. 경인초등수학연구회 수원지회장으로 8년째 활동 중이기도 한 그는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할 길은 수업 밖에 없다”며 “다년간 수학연구를 해온 선배교사로서 내 노하우를 보여주고 공유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김 교장은 지난해 인계초에 부임한 후 2년째 학교장 특별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박준영 교감과 함께 전 교원들의 공개수업에 빠짐없이 참여하고 있다.
“좋은 수업은 교사의 자존심과도 같죠. 그런데 이 수업전문성은 함께 공유하지 않으면 발전이 어렵습니다. 교장인 저도 공개수업 후 협의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질문 사항에 대해 답변하면서 또 한 번 성장하니까요. 저와 후배 선생님들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수업공개를 계속할 생각입니다.”
인계초 교사들은 적어도 1년에 4회 이상 공개수업을 한다. 3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들은 연 1회의 임상장학, 3년 이상의 교사들은 연 1회 학년수업장학, 또 모든 교사는 연 2회 동료장학, 그리고 학부모 수업공개까지 교내 장학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수업공개 후에는 전 교원이 모여 두 시간 가량 조언을 주고받는 협의회를 개최한다.
자신의 수업을 공개하고 평가받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법도 하지만 이 학교 교사들은 “이런 기회가 빈번하다보니 점점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이게 되고 조언에 거리낌이 없어졌다”고 입을 모았다.
“올해 인계초로 발령받은 3년차 교사입니다. 이 학교에서 놀란 점은 수업공개가 알차다는 것이었어요. 다른 학교들은 형식적인 절차로 공개하고, 조언 역시 상처주지 않는 선에서 뭉뚱그리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학교는 이런 활동을 ‘지적’이 아닌 소통과 노하우 공유로 생각하더라고요. 저 역시 다양한 학년의 수업을 보면서 적용해 볼만한 팁도 얻고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정찬미 교사)
이처럼 수업공개가 일상적인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생긴 가장 긍정적인 변화는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보다 깊이 있게 들여다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한진 연구부장은 “17년 교직생활을 하면서 처음으로 진정한 수업이란 무엇인가 고민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동안의 장학활동은 수업 자체보다 발문의 유형이나, 동영상 자료 등 형식이나 겉모습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제는 수업의 ‘알맹이’를 보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수업에서 정말 길러야 할 것이 무엇인지, 진정한 목표가 무엇인지 군더더기를 제거하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수업, 본질에 다가가는 수업을 생각하게 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