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민트(MINT)로 이공계 늘리기에 성공

2015.12.28 14:30:01

2008년 기업가 주축 협회 결성… 이과교육 강화
청년 40% 이공계 진학, OECD평균은 26% 그쳐

독일에서는 대학 진학이나 직업교육에서 이공계열을 선택하는 젊은이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공계 진흥을 위한 교육인 민트(Mintbildung)프로젝트의 성공적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청년층의 이공계 기피 현상이 확대되는 추세다. 이는 교육계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반드시 풀어야할 숙제가 되고 있다. 젊은이들이 이공계를 기피하게 되면 과학기술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마침내는 국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독일도 예외는 아니었다. 독일의 이공계 기피현상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이나 직업 선택에서의 불이익 때문이 아니라 학생들이 수학이나 물리 등 기초·응용 과학 과목을 어려워하기 때문이라는 단순한 이유가 가장 크게 작용했다.

독일 청년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국가차원의 심각한 문제라는 사실이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8년 ‘민트는 미래를 만든다(Mint Zukunft Schaffen)’라는 협회가 기업가들을 주축으로 결성되면서부터다.

이 협회는 독일사회에 이공계 전문 인력 부족의 심각성을 알리고 ‘민트’ 과목인 수학(Mathematik), 정보통신(Informatik), 자연과학(Naturwissenschaften), 기술(Technik) 교육을 강화하자는데 취지를 두고 조직됐다. 이공계 전문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던 기업들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선 것이다.

대부분의 독일기업은 학교교육을 통해 배출된 전문 인력 중에 필요로 하는 인재를 선발해 쓰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직업교육에 동참한다. 절반은 학교에서, 절반은 기업에서 교육받는 이원제 대학이나 이원제 직업교육 시스템이 구체적인 예다. 때문에 이공계 인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앞장서는 모습 또한 지극히 자연스럽다.

협회 결성을 계기로 지난 10여 년 동안 수많은 자연과학 분야의 경연대회가 생겨났고 2011년부터는 연방정부를 주축으로 각 주별로 초·중등학교와 대학, 직업학교 심지어는 유치원까지 ‘민트’ 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여 왔다. 노드라인베스트팔렌 주의 경우 협회 지회와 빌레펠트 대학이 연계, 조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전문교사를 집중적으로 양성했다. 현재까지 3000여 명의 유치원 교사가 연수에 참여했고, 전문교재와 실험실습 도구를 제작해 유치원에 배포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민트 교육 연수를 받은 2명의 교사가 소그룹별로 14일 동안 52개의 과학실험을 시행하는 ‘미니페노메나’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연방차원으로는 현재 1만7000여 명의 학생과 교사, 학부모, 기업가들이 협회에 가입해 적극적으로 민트교육 프로젝트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최근 OECD 교육지표에 반영되면서 그간의 이공계 진흥을 위한 교육정책들이 성공을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 협회 관계자와 교육계의 평가다.

OECD 교육지표에 의하면 독일은 대학 학사과정이나 전문 직업교육을 시작하는 청년들의 40%가 이공계열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26%에 그친 OECD 평균에 비해 확연히 높아 독일이 여전히 기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줬다.

이밖에도 독일은 대학교육이나 직업교육을 받지 않으면서 근로도 하지 않는 20세부터 24세까지 청년의 비율이 10%로 15.5%인 OECD 평균보다 낮고 30%나 되는 남유럽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교육과 직업현장을 연결해 주는 이원제 직업교육 시스템이 훌륭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박성숙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