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이맘때쯤 되면 학교마다 ‘두발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 같다. 학생들은 조금이라도 머리를 더 길게 하려고 기를 쓰고, 학교는 더 단정한 모습의 두발을 원하는 것 같다.
11일 경향신문에 실린 ‘인권 뭉개는 바리깡 폭력’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오죽하면 학생들의 머리에 고속도로를 만들어 두발지도를 하고 있을까하는 생각과 고작 통제 방법으로 내신성적 반영일까하는 안타까움이 들었다. 학생들은 오는 5월에 대규모 집회를 통해 반 인권적 처사를 규탄할 것이라고 벼르고 있다고 한다.
교육당국에서도 늘 두발 자율화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요구하고 있는 두발 자유화는 우리가 상상한 것 이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도 있다. 예를 들자면 머리 모양의 자유화, 길이의 자유화, 색깔의 자유화 등을 요구하면서 모든 통제를 생리적으로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두발자유화는 학생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부정적 측면도 많다. 머리 손질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수업 시간 내내 머리를 매만지느라 수업에 소홀히 하고, 시도 때도 없이 교실 뒤편의 대형 거울 앞에 늘어서서 머리를 손질하기도 한다. 하교 후에는 이들이 사회인인지 학생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 생활지도상의 일탈 문제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적절하게 규제된 두발이 탈선이나 일탈행위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육적 통제가 의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각급 학교의 두발 자율화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학생회측의 집요한 요구와 학교 측의 교육목적상의 필요 사이에서 늘 갈등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두발자유화는 학생회장 입후보자의 단골 공약사항이었고 학생회장 선거가 끝나자마자 우선협상 대상이 되었다. 그때마다 학교운영위원회의가 중간적 통제 역할을 해 왔다. 학생들이 주장하는 안이 최선의 안이 아닌 만큼 학부모위원들이 학생과 학교의 입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하여 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렇게 힘든 절차와 과정을 거친 두발 규정도 유효기간은 최대 1년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새학년도가 되면 두발문제는 또 다시 우선협상 대상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사실 이렇게 학교는 학생들의 요구에 늘 양보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 ‘들이대는 폭력’이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과도 일맥상통된다. 어느 집단이든 자기 의사에 반하면 세력을 모아 들이대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어느 정도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킬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리 사회에 통용되는 생존법칙이다.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도 어느 사이에 이 평범한(?) 진리를 터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의 인권을 무시하고 내신 성적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행동을 제약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학생들 스스로 자신들이 만든 두발규정을 지키도록 설득하고 과정이 보다 정밀하게 시도되었어야 한다. 안된다고 바리깡으로 밀어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어쩌면 쉬운 방법일지는 모르지만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괴롭고 자존심 상할 일이다.
우리도 어렸을 적 학교에서 그런 일을 당했을 때 선생님을 원망하고 스스로 약이 올라 많이 괴로워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이제 그런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더구나 그것을 내신 성적에 반영하는 것은 학생들을 ‘점수의 노예’로 구속하려는 것으로 비교육적이고 비인격적이다. 생활지도는 전인격적 지도이어야 한다.
요즈음에는 두발규정은 학생은 물론이고 학부모, 동창회, 학교운영위원회가 상호 이해를 토대로 만든 것인 만큼 준수해야 한다. 머리가 조금 길고 짧은 것이 자신의 진로 개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얼마나 의지적인 모습으로 학업에 충실하고 절도 있게 생활하는가가 중요하다. 사소한 것에 목숨 거는 우둔함에서 벗어나야 한다. 학교나 교사들 또한 열린 마음으로 이에 대처하여야 한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학생들을 바라보아야 한다. ‘안되면 되게 하라’는 식의 ‘바리깡 지도’는 이제 시대에 뒤떨어진 폭력에 지나지 않는다. 점수로 반영하려는 속셈 또한 교육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