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노동자 자녀교육 소홀히 생각지 말자

2006.04.26 13:39:00

이주노동자들은 우리 나라 사람은 아닐지라도 이제 우리 나라 산업역군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이 되어가고 있다. 만약 이들의 노력이 없다면 당장 여러 산업들에서 인력 부족으로 공장이 멈추지 않으면 안될 지경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은 너무나도 잘 알려진 사실이 아닌가? 그런데 이들이 우리 나라에 와서 자녀 교육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답답한 마음뿐이다.

왜 학교에서는 그들의 입학을 또는 취학을 받으러 하지 않는 것일까? 주민등록이 없다고? 또는 불법체류자라고? 우리 나라 사람이 아니라고? 그렇다고 해서 그들에게 부당한 대접을 해서는 안 된다. 당연히 우리 주변에 취학 연령의 아이들이 있다면 받아 들여서 공부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교육자로서 할 일이다. 비록 그들에게서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지 모르지만, 구더기 무서워서 장을 안 담글 수는 없지 않는가?

2000년, 교장으로 두 번째 근무하던 학교에 가서 보니 몽골 어린이 한 명이 청강생으로 취학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라도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주었으니 다행이긴 했지만, 그래도 그 어린이는 정식 입학으로 취급이 되지 않으므로 해서 학교 급식을 받을 수도 없고, 학생이라는 것이 증명도 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많았다. 그리하여 도교육청에 이 어린이의 취학에 대해 질의서를 보내어서 부모님의 입국 확인증만 있으면 정식 입학으로 인정하여서 학적부를 만들어서 처리하여도 좋다는 허락을 받아 내었다. 그리하여 정식 입학을 시키고 출석부에 이름을 올려서 출석도 부르고 급식도 받게 해주었더니 얼마나 좋아하는지 모른다.

이 이야기가 알려지자 외국근로자선교회를 운영하시는 목사님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 학교의 사례를 방송에 소개하는 등 널리 알려서 이렇게 처리해 달라고 애원을 하였다면서 방송국에서는 기념품이 배달되기도 하였다. 기념품을 받고 나서야 웬일인가 싶어서 방송국에 연락을 해보니 자세히 안내를 해주었고, 곧 이어서 목사님이 방송된 내용과 함께 감사의 편지를 보내오기도 하였던 적이 있었다. 나는 그 어린이를 따로 불러서 몽골에서 무엇을 하던 사람들이었는지 부모의 직업 등을 물어 몽골에서 그 집안의 위치를 알게 되었다.

이 아이는 부모님과 큰언니 그리고 당시 2학년인 이 아이까지 4명의 식구가 나와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아버지는 몽골에서 국영기업체에서 과장으로 근무하였었고, 어머니는 몽골에서는 소아과 의사선생님이셨고, 언니는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다가 우리 나라에 돈을 벌기 위해 왔다고 했다. 그들은 학교 부근의 가구 공장에서 다른 사람들이 가장 힘들고 싫어하는 작업인 페인트칠과 윤내기 작업 같은 힘든 일을 하는데 한 달에 약 100만원 정도 받고 있으며, 이것은 몽골에서 3개월치 월급과 맞먹는다고 했다.

이 정도의 월급을 받아서 착실히 돈을 모은다면 2,3년만 벌어 가지고 가면 부자 소릴 듣게 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어린이는 몽골사람들의 얼굴이 우리와 너무 비슷하여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인데다가, 한국에서 공부하면서 <가연>이란 한국식 이름까지 지어서 부르고 있어서 처음엔 전혀 외국인이라는 사실을 알지도 못했었다. 자기만 어려서 학교에 다니니까 돈벌이를 하지 못하고 큰언니까지 세 사람이 벌기 때문에 곧 돈을 벌어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 아이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는 이런 외국 근로자들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이들은 우리 나라에 돈을 벌기 위해 왔지만, 나름대로 그 곳에서는 인텔리 층이거나 활동력 등에서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우리 나라에서 돈을 벌어서 돌아가면 바로 우리 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될 것이고, 또한 우리 나라를 잘 아는 지한파 또는 친한파가 되어줄 사람들이다.

다시 말해서 이들은 우린 나라에 와서 돈을 벌어가면서 힘들게 살고 어려움을 겪었지만, 우리 나라를 자기 나라에 소개하는 민간 외교관 노릇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무시하지 말자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자기 나라에 돌아가서 우리 나라에 대해 나쁜 기억보다는 조금이라도 좋은 기억을 가지고 돌아가서, 우리 나라에 대해서 좋은 나라로 이야기 해줄 적에 우리 나라는 그만큼 그 나라에 우리의 영역을 넓히는 결과가 될 것이라는 말이다.

이런 의미까지 생각한다면 결코 그들에게 함부로 하지 말고, 적어도 어린이들에게라도 친절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어루만져 주는 것은 우리 나라의 모든 학교에서 해야할 일이 아닌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았으면 싶다. 그리하여 아직도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는 어린이들을 모두 학교에 다닐 수 있게 해주고, 조금이라도 더 친절하게 잘 대해 주어서 그 어린이들이 자라서 내가 자라던 시절, 우리 나라에서 살면서 겪었던 일들이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이 곳의 친구들이 만나고 싶어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김선태 한국아동문학회 회장, 국가브랜드위원회 문화멘토,노년유니온 위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