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만큼 교육에 관심이 있는 경우가 흔하지 않다고 한다. 이웃 일본도 교육에 대한 열정과 관심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 비하면 어림없다는 것이다. 이런 열정 때문에 우리나라 국민들은 모두가 교육전문가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교육에 관심이 높기에 교육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열정과 관심, 전문적인 지식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힘이라는 데에 이견이 없다. 조기유학에 따른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결국은 교육에 대한 열정과 관심이 밑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듯 교육전문가가 많지만 근본을 제대로 이해못하는 전문가들 역시 많은 것같다. 대체적인 교육은 잘 이해하고 있지만 학교교육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히 접할 수 있다. 간혹 언론사등에서 교육현안에 대해 의견을 물어오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의견을 이야기하다보면 의견을 요청한 쪽에서 이해를 잘 못해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론 다 그런것은 당연히 아니지만 일정비율은 학교교육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언론사의 이름을 대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곳임에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다. 특히 학교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지 못해 대화가 단절되기도 한다.
최소한 이들에게 자세한 것을 설명하려면 몇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게 이해를 시킨 후에 의견을 이야기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언론사의 교육담당이라면 학교교육은 물론 다양한 교육부분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물론 이해를 잘 못하는 담당자가 초보자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는 있지만 충분한 사전지식없이 담당을 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잘 모르기 때문에 담당자의 개인생각이 주관적으로 반영되어 기사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과 많이 동떨어진 문제라도 생기면 학교현장은 큰 타격을 입게 되는 것이다.
제대로 학교를 이해하지 못해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는 언론사뿐 아니다. 교육관련단체에서도 그런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의 교원근무시간을 두고 이의를 제기한 것이 가장 좋은 예이다. 학교현장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하나의 오해일 뿐이다. 일반공무원과 교원들을 단순히 비교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판단이기 때문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 가지고 판단하고 있기에 큰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교원의 근무시간에 관한 규정이 만들어졌다는 것은 업무의 특성상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 필요성을 한꺼번에 없애버린다면 수많은 학생들의 교육을 포기하라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학교교육을 이야기 하려면 최소한 학교를 절반이상은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학교에와서 함께 생활해보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파악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만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고 학교가 단순히 공부만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교사가 필요하고 교사들이 무슨일로 고충을 겪고 있는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학교를 자꾸 불신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학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면 겉으로 보이는 것밖에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다. 그것이 전부가 아님에도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 것으로 오해하게 되는 것이다. 언론사는 물론이고 학부모단체등 교육관련단체도 전문가가 되려고 노력해 주었으면한다. 그 이후에 정말로 학교교육에 문제가 있다면 이의를 제기해도 늦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단순하게 판단하여 무조건 비난하고 비판하는 풍토를 없애기 위해서라도 최소한 교육관련활동을 하는 단체나 개인은 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