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 보도(09.9.18자)에 따르면 전북이 전교생에게 무상급식을 제공하는 학교 비율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751개 학교의 62.8%인 472개교가 무상급식을 하고 있다. 전국 평균은 16.1%이며, 수도권 경기도의 4%에 비하면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우수하다. 어려운 지방 재정을 감안할 때 전라북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배려가 다행스러울 수밖에 없다.
학교급식에서는 철저한 위생관리와 양질의 식자재를 선택하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 및 신토불이 식품으로 선도가 높은 식품을 사용하고 있다. 화학조미료 없이 조리할 뿐만 아니라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는 균형잡힌 식단을 제공하고 있다.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시키고 충분한 영양공급으로 건강한 신체를 가꾸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학교급식이야말로 세계적 으로 가장 선진화 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필자기 초등학생일 때도 학교에서는 굶는 학생들을 위한 급식이 있었다.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충분하지 않아서 효과가 미미하긴 했지만 결식아동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가끔씩 분유가루, 옥수수가루 등을 배급받아 죽을 쑤어 먹을 수 있었다. 일부 학교에서는 직접 죽을 쑤어 급식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양과 횟수가 너무 적어서 별로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 그때는 하루 두끼도 제대로 못 먹는 가정이 많았다. 이런 학생들에게 점심은 오히려 사치일 수도 있었다. 휴전이 되고 겨우 10년도 안됐으니까.
70년대 중반, 해발 700m의 고개 넘어 1시간 50분을 걸어야 갈 수 있는 산골 마을의 벽지학교 교사가 되었다.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중식제공 무상급식용 빵을 공급했다. 매일매일 산넘어 면소재지에서 지게에 빵을 짊어지고 도보로 배달하여 학생들에게 급식하였다. 빵 한개로 한끼 식사를 대신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지만 시장기는 면할 수 있었다. 여름철에는 하루만 지나도 먹을 수 없을만큼 방부제 없는 좋은 빵이었지만 맛으로 먹기에는 어림없었다.
그 뒤 군청소재지 학교로 옮겼다. 무상급식은 전혀 없었다. 도시락을 가져오지 못하는 학생들이 제법 있었지만 방관할 수밖에 없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었다. 정부에서는 부족한 식량란 때문이었는지 혼분식을 적극 권장하였다. 아니 강제성을 띠었다. 매일 혼식정도를 조사하여 낱낱이 기록해야 했다. 쌀밥이나 보리 몇알 들어있는 밥은 가져오지도 못하게 했다. 밀가루가 쌀보다 영양가가 더 있어서인지 모르겠지만 분식을 권장하고 쌀밥은 건강에 좋지않다는 홍보가 만연되었다. 그런 와중에서도 굶는 아이들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보도에 의하면 서울시는 전체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제공하는 학교가 전혀 없고, 경기도는 4%에 해당하는 학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어쩔 수 없는 경제적 현실 때문에 결식할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게만 선별적으로 무상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내짝꿍은 돈내고 밥을 먹는데 나는 공짜로 밥을 먹는다. 행여 자존심에 상처를 받지는 않을까? 내짝꿍은 공짜로 밥을 먹는데 나는 돈내고 밥을 먹는다. 불공평하다고 차별대우 받는다고 불만을 갖지는 않을까? 아직 어린 학생들이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라북도의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에서는 어느 시․도보다도 학생 무상급식의 중요성을 알고 많은 재정지원을 하고 있어 정말 다행스럽다. 나아가 도․농의 지역구분과 초․중․고의 학교급 구분없이 모든 학생들이 무상급식의 혜택을 누렸으면 좋겠다. 전라북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시급하게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학생들에게 양질의 무상급식을 하는 것이야말로 차세대 국민들의 심신 건강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먹을거리 때문에 정서적으로 상처받지 않고 건강에 위협받지 않도록 무상급식 지원에 인색하지 않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