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 원리 3 -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그것을 평가하려는 문항이 필요하다.
<예시>
(가) 김광균의 ‘추일서정’
(나) 정지용의 ‘향수’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의 설명에 해당하는 시구를 (가), (나)에서 각각 한 개씩 찾아 쓰시오. [6.0점]
‘심상’이란 시를 읽을 때 마음속에 떠오르거나 느껴지는 감각적 체험의 표상을 말한다. 심상은 일반적으로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화자의정서나 의식 세계를 환기시켜 줌으로써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기여한다. 주로 시각, 청각이 중심이 되지만 후각, 미각, 촉각, 냉온 감각 등이 심상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감각적 심상 중에는 한 종류의 감각을 다른 종류의 감각으로 전이시켜 표현하는 공감각적 심상이 있다.
(1) (가) :
(2) (나) :
<컨설팅>
위 문항은 우선 서술형 평가라고 하기 어렵다. 지문에서 해당하는 시구를 찾아서 그대로 옮겨 쓰면 된다. 즉 이 문제는 학생들이 글 속의 정보 관계 분석을 통해 답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답을 선택하는 형태다. 이는 학생들이 쉽게 답안을 작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교사들이 출제와 채점을 편하게 하려는 의도도 있다.
공감각적 표현은 지식이나 이해에 해당하는 사실적 사고이다. 그러나 평가 방법을 개선하면 비판적 사고나 창의적 사고와 같은 고차적 사고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 문항은 시구(공감적 표현이 담긴 시구)를 제시하고, 시구의 심상에 대해 설명하라는 평가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면, 공감적 표현의 학습 목표를 평가할 수 있고, 또 표현상의 특징을 학생들이 서술하면서 공감적 표현의 개념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작 원리 4 - 출제 의도가 수험자(학생)에게 정확히 전달되어야 한다.
<예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윤동주, ‘서시(序詩)’
㉠, ㉡의 바람이 갖는 상징적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완성된 문장의 형태로 쓰시오. [6.0점]
㉠ :
㉡ :
<컨설팅>
서술형 평가 문항의 발문은 정답 서술의 내용과 조건이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작성하여야 한다. 이 문항은 ㉠, ㉡의 바람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쓰는 것인지, 그 차이점을 쓰는 것인지 지시문이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를 물을 때는 너무 포괄적이다. 시적화자와 관련하여 혹은 외재적 관점(시대)과 관련하여 라며 일정한 제한 조건을 주는 것이 학생들이 반응하기 편하다.
서술형 평가는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중시하지만, 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어느 정도 사고의 범위를 제한해 줄 필요가 있다. 이 문항은 응답자의 반응 범위가 지나치게 개방되어 있다. 수험생이 정답의 범위를 인지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 문항처럼 두 개의 답안을 작성을 할 때는 부분 점수를 안내해야 한다. 부분 점수 상황이 제시되어 있으면, 학생이 답안 작성에 적극성을 보인다. 문항의 부분 점수가 제시될 때 학생은 문항의 점수를 고려하여 문항에 응답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제작 원리 5 - 발문에는 평가요소(내용 영역)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예시>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3연>
<보기>를 바탕으로 ㉡에 대한 해석을 <조건1>에 맞게 서술하고, 이에 따라 3연의 내용에서 추정할 수 있는 시적화자의 속세에 대한 태도를 <조건2>에 맞게 쓰시오. [6점]
보기의 ‘가던’은 ‘(밭을) 갈던’에서 ㄹ이 탈락된 형태이고, ‘새’는 ‘사래’에서 ㄹ이 탈락되고 축약된 형태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 ‘사래’는 밭이랑을 뜻한다.
<조건1> ‘~을 가지고, 물 아래 ~을 본다.’의 문장 형태로 서술하기
<조건2> 속세에 대한 ( )
: ( )에 들어갈 낱말만 쓸 것.
<컨설팅>
고등 정신 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을 만든다고 하면서 발문의 진술을 매우 복잡하게 했다. 발문에 필요 없는 내용을 언급하면서 복잡하게 됐다. 이는 ‘조건에 맞게’라는 서술은 언급하지 않고 작성하는 것이 혼동을 줄일 수 있다. 오히려 이 언급은 답안 작성용 빈칸을 만들어 주면서 처리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거듭이야기 하지만 좋은 문항은 복잡한 것이 아니라 표현이 단순, 간략, 명백해야 한다. 또 이 문항에서는 꼭 물어할 내용이 무엇이고, 그 내용은 어떤 평가 장면으로 구체화할 것인가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추정’이라는 단어도 걸린다. 학생에게 생소한 표현이다. 피험자가 질문의 답을 알고 있는데, 질문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를 알지 못해 답을 맞히지 못하면 올바른 평가라 할 수 없다. 인지 능력의 발달 수준과 어휘력의 수준을 파악해 그 집단에 적절한 문항을 만들어야 한다.
<마무리>
지금까지 서술형 평가 문항에 대한 점검을 해 보았다. 평가 문항의 작성 방법에 대한 절대적 기준은 없다. 다만 좋은 문항 작성을 위해 담당 교사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교과협의회 등을 거쳐 컨설팅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갖게 되면 더욱 좋은 문항을 만들 수 있다.
평가는 끝이 아니라 구체적인 수업을 하기 위한 시작이다. 따라서 서술형 평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수업 기술에서 변화를 꾀해야 하지만, 학생 또한 공부 방식이 바꿔야 한다. 평소 학교 공부를 충실히 한 학생들도 서술형 평가는 손을 못 대는 경우도 많다. 이는 객관식 문항을 푸는 데 익숙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순 암기 위주의 공부 습관을 때문이다. 이러한 학습 습관을 바꾸지 않으면 계속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제는 공부 방식에 변화가 와야 한다.
단순한 지식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이해를 해야 한다. 글을 이해 할 때도 주장과 주장으로 내세우는 근거의 관계를 익히는 것이 핵심이다. 문학 작품을 읽을 때도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자신의 논리로 설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는 수업 중에 정기고사와 같은 유형의 서술형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답을 작성하는 방법 등을 도와주고 충분히 연습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