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에 거친 말이 범람한다

2011.10.09 08:31:00

현대인은 신문을 보고 정보를 얻는다. 방송을 보고 들으며 연예 오락을 즐긴다. 인터넷을 항해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도 현대인의 특징이다. 한 마디로 매스컴을 피하고 싶어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매스컴은 대규모로 조직된 집단이고, 정보를 대량으로 복제하며 전달하기 때문에 수용자는 일방적으로 받아들인다. 우리의 문화 대부분도 역시 대중매체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특히 매스컴의 언어는 우리의 감정과 의식에 작용해서 언어생활에도 영향을 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청소년의 언어는 심각하다. 인터넷의 게시판 등의 글을 보면 어느 나라 글자인지조차 알아볼 수 없다. 그러다보니 현실에서 맞춤법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 문제는 꾸준히 지적되어 온 문제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접기로 한다.

걱정스러운 것은 신문 등의 표제어가 거칠게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섬세하고 정서적 깊이가 있는 표현보다는 즉흥적이고 감각적인 언어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 21일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치른 두 팀의 전반기 격돌에서는 부산이 인천에 2-1 승리를 거뒀다
○ 월드바둑마스터스 16강전에서 세계 바둑의 ‘빅4’라 할 이창호-이세돌-구리-쿵제가 때 이르게 격돌했다
○ LG-한화-두산, 5위 싸움 어떻게 전개될까
○ 여야, 서울시장 선거전 본격 돌입, 치열한 기싸움
○ 맨유, 노리치 시티 2-0 격파, 박지성 어시스트
○ 백화점 17일간 가을세일 혈전 돌입
○ 마트 ‘반값 전쟁’, “그래도 밑지진 않아요”
○ 보험사 M&A 잇단 좌초, 금융불안 ‘직격탄’
○ 무한도전 신세경 예능감 폭발 ‘물 만난 고기 같아’





‘격돌, 싸움, 돌입, 격파, 혈전, 전쟁, 직격탄, 폭발’이라는 단어가 보인다. 이 말은 모두 전쟁과 관련된 말이다. ‘격파’는 ‘쳐부수는 것’이고 ‘혈전’은 ‘피를 흘리고 싸우는 것’이다. 우리가 자주 들어서 무감각해진 단어지만, 사실은 무시무시한 표현이다. 운동 경기에도 어울리지 않고, 선거에도 안 어울린다. 심지어 백화점 가을 세일을 ‘혈전 돌입’이라고 했는데 순화해서 써야 한다.

○ 최경주, 강풍과 퍼팅난조로 순위 곤두박질. 김영규 이븐파로 단독 선두 바람과의 전쟁이었다
○ ‘가문의 영광4’ 흥행바로미터 유료시사서 ‘통증’, ‘챔프’ 꺾다
○ 연 800조원 세계 의약품 시장, 신약 개발로 뚫는다
○ 개봉 10일 만에 200만 돌파, ‘도가니’의 질주
○ JYJ, KBS 부적격 판정 발끈!
○ 김윤아 “남편 김형규, 자우림 사진마다 끼어 있더라” 섬뜩
○ 코스피, 1730선까지 ‘폭삭’
○ 런닝맨 소녀시대, ‘내숭은 가라’ 짝꿍 쟁탈전에 막춤까지
○ 이휘재 미스코리아, ‘연기하기만 해봐’ 엄포
○ LG 두들긴 두산 11-1 승

세상에 접촉하는 모든 일에 있어 첫인상이 중요하듯, 사람들은 신문을 볼 때 표제어에 영향을 받는다. 인터넷 뉴스도 마찬가지다. 제목에 이끌려 클릭을 하게 된다.
신문과 인터넷 뉴스는 표제어로서 특히 독자의 주의를 끌게 하기 위하여 활자 따위를 돋보이게 한다. 그리고 독자로 하여금 가시를 읽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도록 자극적인 표현을 한다. 그러다보니 표제어는 현실 속에서 방법론상 어느 정도 묵시적 변칙성이 용인되고 있다.
그러나 신문 표제어가 사전적 정의에서 벗어난 쓰임이 일상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지나치게 선정적이고 폭로적인 것은 경계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거칠고 난폭한 표현이 일반화되었는데 삼가야 한다.

신문 표제어는 곧 신문의 제목으로써, 신문 기사내용을 형상화하고 개괄하여 보여주고 있다. 표제어는 헤드라인(headline)이라고 해서 뉴스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표제어는 정확성, 간결성, 명료성을 지닌다. 즉, 신문의 표제어는 기사의 내용을 요약하고 대표하면서 독립적인 의미와 기능을 갖춘 독특한 표현 양식이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언어의 영향은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 어느 것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순화되지 못한 말들이 매체를 타고 우리 사회에 확산되면, 정서와 언어생활에 악영향을 끼친다. 신문이나 인터넷의 언어 사용에 대한 자정 노력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의무 사항이라는 책임감이 확산되어야 한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