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쌤앤파커스)’가 100만부 판매를 넘어섰다고 한다. 이 책은 출간 8개월 만에 100만 부를 돌파하며 에세이 부문 최단기 100만 부 돌파라는 기록을 수립했다. 최근 5년간 100만 부 넘게 팔린 책으로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정도가 유일하다. 따라서 비소설류인 이 책이 출간 10개월 만에 100만 부 고지를 넘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흔히 청춘은 그 자체로 부러움의 대상이다. 젊음은 꿈을 가질 수 있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기성세대는 이들을 마냥 부러워한다. 젊었는데 무엇이 두려우냐고 치부한다. 하지만 그들의 실상은 정반대다. 오히려 젊었기 때문에 불투명한 미래에 불안해한다. 마냥 꿈에 부풀어 있는 듯하지만 정작 매일 밤 뜬 눈으로 밤을 밝히고 있다. 스펙을 쌓고 취업의 문을 두드리고 있지만 일이 잘 안 풀린다. 시대를 잘못 타고난 것인지, 아니면 내가 부족한 것인지, 그 아픔은 끝이 없다.
우리 사회는 청춘들이 힘들어하는데 등을 도닥거려 준 적이 없다. 공감하고 아파하는 기성세대도 없었다. 그들을 토닥이며 위로와 조언을 건네주고, 용기를 북돋아줄 멘토가 없다.
이 책이 많이 팔린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책은 저자가 대학생들에게 주는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힘들어하는 청춘에게 주는 글이다. 불안과 불확실의 길에서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따뜻한 손길로 어루만지고 있다.
저자는 학생들과 교정에서 매일같이 부대끼며 그들만의 아픔을 보아 왔다. 인생 앞에 홀로서기를 시작하는 학생들은 불안하고 초조하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또 훈계를 하면서 청춘에게 길을 안내한다. 따뜻함을 잃지 않는 목소리는 단순한 위로를 넘어 삶의 감동을 준다.
그대는 지금 어느 마른 우물 안에서 외줄을 잡고 대롱대롱 매달려 있다. 그대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나라면 이렇게 하겠다. 줄을 놓는다. 그렇다. 포기하고 줄을 놓는 것이다. 정말로 포기하고 줄을 놓아보라. 생각보다 많이 다치지 않는다. 인생에서 온몸이 산산이 부서질 만큼 깊은 바닥이란 많지 않다. 그대가 정신만 똑바로 차리고 착지한다면
(PP. 96~97. ‘바닥은 생각보다 깊지 않다’ 중에서)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청춘에게 폭넓은 인생을 권하고 있다. 행정고시에 떨어진 경험, 그것도 아주 큰 점수차로 떨어진 이야기. 오래 사귀었던 여자 친구와 헤어지고, 자신감도, 포기하는 용기도 갖지 못했던 이야기. 어둡고 암울했던 이야기를 통해 젊은이들을 위로하고 있다.
저자는 대학 교수이지만 현학적인 화법을 쓰지 않는다. 일상적인 언어로 말한다. 권위적이지 않다. 아버지처럼 때로는 선배처럼 자신이 만난 20대의 모습 등을 여과 없이 보여줌으로써 공감이 간다. 해야 할 말은 에둘러 말하지 않고 직설적으로,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있어 이해도 쉽다. 중요한 핵심을 간결한 문체로 말하고 있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다.
지금 우리 시대는 불안하다. 2008년 리만 브라더스 파산으로 인한 경제위기가 시작됐다. 유럽 발 금융 위기기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를 지배해왔다고 자부하던 미국도 금융위기로 휘청거리더니 연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2007년 책에서 시작된 ‘88만원 세대’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주변에서 맴돌고 있다. 4년이 지난 지금도 그들은 생활고와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신문을 보고, 텔레비전을 봐도 모두가 경제 이야기만 하는데 우리의 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정치권은 일찌감치 신뢰를 잃었고, 정부 당국도 국민에게 실망만 안기고 있다. 은행권도 마찬가지다. 서민들은 한푼 두푼 모아서 은행에 맡겼지만 이번에 철퇴를 맞았다. 아주 어렵게 번 돈을 갔다가 개인 돈 쓰듯 하고, 그것도 모자라서 몰래 자기들 돈만 챙겨갔다. 정의와 원칙이 무너지고, 불신만 팽배해졌다.
우리가 어려운 시기에 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현실적인 제약이 하루하루를 더욱 힘들게 만든다. 하지만 세상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은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든다. 더 나은 나를 만들어주지 못한다. 우리를 일으켜 세우는 것은 내 안에서 싹트는 자신감이다. 나는 항상 할 수 있다는 믿음, 나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우리를 전진하게 한다.
그대여, 늘 ‘지금의 나’를 뛰어넘을 것을 생각하라. 기성의 성취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잠재력을 끝없이 확대해야 한다. 자기 세계에만 안주하고 있으면 무뎌진다. 그대가 스스로를 새롭게 만들지 않으면 언젠가는 사회가 그대를 오래되게 만들어버린다. 게다가 우리 인생은 생각보다 훨씬 길다. 당장 좋아 보이고 남들이 좋다고 하는, 늘 같은 레퍼토리만 반복하고 살아야 한다면 너무 지겹지 않겠는가?
잊지 말라. 알은 스스로 깨면 생명이 되지만, 남이 깨면 요리감이 된다고 했다. ‘내 일’을 하라. 그리고 ‘내일’이 이끄는 삶을 살라(p. 253).
우리의 삶은 복잡하다. 어떻게 전개될지 모른다. 거기에는 정답도 없다. 그저 세상을 바라보는 여유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내 길고 긴 삶에 대한 넓고 여유 있는 시각을 지닌다면 내일로 이끄는 나를 만들 수 있다. 학점, 토익점수, 자격증 등이 삶의 전부일 수 없다. 취업을 넘어 나의 삶이 좀 더 풍요롭고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을 생각해야 한다. ‘내 일’과 ‘내일’이 이끄는 삶을 살다보면 희망이 보인다.
그동안 서점가는 20대에 꼭 해야 할 일, 죽기 전에 해야 할 일, 성공하는 습관 등 우리를 설교만 하며 더 힘들게 했다. 까마득한 성공의 꼭대기를 오르라고 채근했다. 이 책은 큰돈을 버는 법도 없다. 오직 외로움과 고독을 어루만져주고 끝이 보이지 않는 길을 잠시 쉬어가라고 일러준다.
지금 우리 세대의 심리는 위로받고 싶고, 누군가 안아줬으면 하는 마음이다. 공허한 마음에 펑펑 울고 싶다. 이제 기댈 곳도 없다. 믿을 곳도 없다. 마음도 많이 아프다.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우울한 현실을 홀로 걸어가야 한다.
우리는 이제 지쳤다.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자도, 대중을 선도하는 지식인도 우리들에게 감동을 주지 못했다. 이제 우리는 섬세하게 위로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그로부터 위로받고 싶고 따뜻한 격려의 말을 듣고 싶은 것이다.
이 책은 40, 50대 주부들, 직장인들이 자녀들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 기성세대들도 모두 힘겹게 살고 있다. 앞만 보고 살고 있지만 모두가 만족한 결과는 없다. 오늘 하루도 힘겨운 삶이 허리를 휠 정도로 짓누르는 귀가를 한다. 그렇다면 그들에게도 따뜻한 위로와 격려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