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르지~’가 바른 표현

2011.11.17 10:14:00

2011년 11월 10일 mbc 6시뉴스매거진이라는 프로그램을 보았다. 이 날 방송 중에 장례를 못 치른 가족이야기가 있었다. 29년 전의 어느 날 홀연히 사라져버린 형은 경찰에게 심한 폭행을 당하고 사망했다는 것이다. 심한 폭행으로 죽은 것도 기가 막힌데 경찰은 이 남성의 시신마저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주지 않았다. 그래서 29년째 죽은 형의 장례를 치르지 못하고 있는 동생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방송 자막에 ‘29년째 장례를 치루지 못하는 가족’이라는 표현이 보인다. 이 중에 ‘치루지~’는 바른 표현이 아니다. ‘치루지’는 ‘치르지’의 비표준어이다. 흔히 ‘치르다’를 ‘치루다’가 기본형인 것으로 잘못 알고, 그 활용형을 ‘치뤄, 치뤘-’으로 쓴다.

‘치르다’는
무슨 일을 겪어 내다.
- 시험을 치르다.
- 잔치를 치르다.
- 장례식을 치르다

‘치르다’는 어간 ‘치르-’에 어미 ‘-어, -었-’이 붙게 되면, 어간의 ‘으’가 탈락하고 ‘치러, 치렀-’으로 활용한다. ‘쓰다’에 ‘-어, -었-’이 붙으면 ‘써, 썼-’으로 활용하는 것과 같다.



일반 사람도 그렇지만 방송 자막도 틀리고 있으니 심각하다. 방송은 전파력이 크다. 이런 의미에서 언론 매체의 잘못된 언어 표현은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문제다. 바른 언어 사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언론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공부를 하고, 바른 언어 표현에 앞장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화제를 바꿔서, 얼마 전에 잔칫집에 갔다. 흥이 넘치는 자리에서 초청한 가족 대표가 하객들에게 인사를 했다. 그러면서

“저희 아버지 되시고, 옆에 계신 분이 저희 어머니 되십니다. 그리고 이쪽은 제 아내가 되겠습니다.”라고 했다.

흔히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가족을 소개할 때 하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먼저 바람직한 표현을 제시하면, “저희 아버지시고, 옆에 계신 분이 저희 어머니십니다. 그리고 이쪽은 제 아냅니다.”라고 하면 된다.
물론 ‘되다’는 ‘어떤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 이 사람은 제 아우가 됩니다.
- 저 놈은 내게 원수가 된다.
- 이 소녀는 제게 조카가 됩니다.
- 저는 그 사람과 친구가 됩니다.
- 우리는 서로 사돈 간이 됩니다.
- 우리 두 사람은 사촌뻘이 됩니다.

문제는 ‘되다’에 ‘-겠-’이라는 어미다. 이는 필요가 없는 문법적 요소다. 이 어미는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말로, 가족관계라는 사실의 기술에는 쓸 수 없는 표현이다. 다음의 예도 마찬가지다.

“다음 역에 도착하여 10분간 정차되겠습니다.”

여기서는 ‘정차’에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되다’가 붙어 ‘정차되다’로 쓸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니 어미 ‘-겠-’의 사용도 틀렸다고 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문제 삼는 것은 이 표현은 굳이 피동의 의미로 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정차하다’로 쓰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정차하겠습니다’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사람은 혼자 살아갈 수 없다.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다. 이러한 관계는 언어로 가능해진다. 따라서 좋은 관계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언어생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표준어 구사는 물론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적절한 의미를 드러내야 한다. 어법에 맞지 않거나, 의미상 어울리지 않는 표현은 품위를 잃게 하고 불편한 마음을 준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