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에 대한 단상

2012.04.20 12:55:00

수업을 한지 25년이 넘는다. 학창 시절 수업을 받은 경험까지 셈하면 40년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하면서도 수업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부끄럽다. 지금 이 자리에서 소박하지만 수업은 무엇인지 스스로 묻고, 답을 찾고 싶다.

수업의 정의는 미사여구를 쓸 것도 없다. 말 그대로 가르치는 일이다. 영어로 표현할 때도 ‘teaching’이라고 한다. 물론 전문적인 검토를 하면 복잡해지겠지만, 대체로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수업이 가르치는 것이라 한 것처럼, 수업에 있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교사다. 그러다보니 교사 중심의 수업이 예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수업 방법은 주입식 교육으로 흐른다. 결국 학습자는 교사가 가르치는 교육 내용을 암기하는 수동적인 태도를 갖는다. 학생들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생각도 이끌어 내기 어렵다. 수업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가르쳐 얻는 결과가 더 중요하다. 대상을 가르치는데 대상에 대한 변화의 결과를 고찰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따라서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학생을 움직여서 스스로 지식을 터득하도록 도와주는 일이 수업이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이 배움중심수업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학생 개인의 차이를 존중하고, 개별화된 배움의 기회를 보장해, 학생들이 스스로 배움을 터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수업의 큰 틀이 학생 중심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인정한다. 하지만 우리는 수업에 대해 지나치게 교사 중심이냐 학생 중심이냐 하면서 이항 대립적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둘은 배타적인 범주가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연속성이 있다. 그리고 수업은 시간이 지나다보면 교사 중심에서 자연적으로 학생 중심으로 점차 이동해 간다. 그런데도 한 시간의 수업에서 교사 중심이니 학생 중심이니 구분하려는 것은 강박 관념의 산물이다.

학습 모형에 대한 고민도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학습 모형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해 보이지만, 수업은 의도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갑자기 수업 중에 호기심을 느껴 질문을 하면 답을 찾아줘야 한다. 흥미가 없으면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것이 수업이다. 그 시간에 충실한 수업을 진행하는데 초점이 있어야 한다. 오히려 학습 모형을 강조하다 보면 고정된 틀에 빠져 교사 중심이 되기 쉽다. 학습 모형이라는 것도 결국은 학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교실 수업 전략이다. 수업은 모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수업 목표와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는 교과 내용이다.




날개 없는 선풍기가 있다. 감히 상상도 못했다. 그런데 신선하고 편리하다. 마찬가지다. 수업 모형대로 따라가는 생각도 버려야 한다.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수업은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것은 서구 이론이다. 특정 이론으로 수업을 특권화하고, 그 이론을 제시하는 것은 플라톤 이후에 내려온 서구 주지주의의 전형이다. 그 이론을 잘 배우고, 그 이론을 잘 따르면 수업을 잘할 것이라는 것은 오산이다. 수업은 실천하는 것이다. 모형의 강요는 오히려 실천가인 수업자의 다양성을 해치게 된다.

수업은 일반적으로 교사나 학생의 일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없다. 따라서 처음부터 교사 중심 수업이라는 것도 없다. 수업이란 언제나 교사와 학생의 공동 창작이다. 표면적으로 교사 중심 수업처럼 보이는 것도 그 이면에는 학생들과 끊임없이 교섭하고 협상하는 과정이 존재한다.

교사 위주의 수업이 꼭 나쁘다고 단정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수업에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교육 효과다. 때에 따라 교사의 치밀한 의도로 수업이 진행되고, 학습 효과가 좋았다면 좋은 수업이다. 더욱 그런 수업에 대해 학생들이 감동을 느꼈다면 그것이 성공이다.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묻고 답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이다. 물음과 깨달음으로 대변된다. 학생이 궁금증을 갖게 하고, 답을 스스로 찾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수업에서 더 중시되어야 할 것은 틀이 없는 자유로움이다. 무턱대고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좌석 배치를 한다고 해서 상호 작용이 자연스럽게 일어날 것이라는 생각도 바꿔볼 필요가 있다.

이제 수업에 대한 중압감을 내려놓으면서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매번 수업 연구대회에서 1등급을 받기 위한 수업을 할 수도 없는 일이다. 훌륭한 수업 모델에 교사의 탁월한 능력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고 학생들의 학업 성취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또 그런 수업은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교사와 학생이 행복한 1시간이다. 좀 흐트러지면 어떤가. 교사와 학생이 끊임없이 교류하고 소통하며 배움을 엮어나간다면 좋은 수업이 된다. 마음이 따뜻하게 통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수업에서 진짜 필요한 것은 언어화시킬 수 없는 뜨거움이 아닐까.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