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 교육 바람직한가

2012.06.13 17:04:00

수석교사라는 이유로 수업을 봐달라고 한다. 내게 조언을 구하고 도움을 구하기 위해서다. 부탁하는 쪽에서는 내가 수고를 한다고 미안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기분이 좋다. 남의 수업을 보면 내가 더 배울 점이 많기 때문이다. 나는 수업을 보면 비판하고 평가하지 않는다. 수업을 보고, 나를 본다. 수업을 봄으로써 나를 성장시킨다. 그래서 수업을 봐달라고 할 때는 만사를 제쳐놓고 나선다.

이번에도 바쁜 가운데 공개 수업 몇 회를 봤다. 공개 수업이라 그런지 준비도 많이 했다. 학습 목표 안내부터, 수업 설계가 체계적이었다. 동기 유발을 위해 호기심을 유발하는 질문을 주고 거기에서 문제점을 유도했다.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설명과 해결하는 시범을 보인 과정은 학생들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데 쉽게 길을 찾을 수 있게 했다. 학생들도 수업에 의욕적으로 참여하고, 발표도 잘한다. 흠 잡을 것이 없다.

굳이 흠을 잡는다면 교사가 학생에게 하는 보상이다. 발표의 내용이 맞을 경우 선생님이 학생에게 사탕을 준다. 조별 과제를 의도대로 수행하면 조원 전체에게 사탕을 주기도 한다. 평상시에도 사탕을 주는지, 아니면 공개 수업이어서 준비했는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사탕 바구니를 들고 다니는 교사를 자주 본다는 것이다.

흔히 어떤 일을 하고자 하는 동기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나눈다. 내적 동기는 자발적인 동기로 학습자 스스로 어떤 과제를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이다. 외적 동기는 타자가 욕구를 자극하고 그것을 매개로 하여 학습에의 의욕을 끌어낸다. 이때 효과를 위해 상과 벌, 경쟁이나 협동 등을 이용한다.

교사가 사탕을 주는 이유는 외적 동기를 자극하는 것이다. 학습 수행의 결과를 칭찬해 수업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사탕을 주면 공부를 하고 싶어 할 것이라는 판단이 내재한다. 하지만 물질 보상에 의한 동기 유발은 한계가 있다. 그에 관해 널리 알려진 사례가 있다. 심리학자 연구실 근처에 동네 아이들이 시끄럽게 놀았다. 소음은 스트레스를 주었다. 심리에 능통한 이 학자는 아이들에게 독특한 방법으로 접근했다. 아이들에게 뛰어노는 모습과 웃음소리가 즐겁다고 거짓말을 했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계속 그렇게 해주면 매일 1파운드씩 주겠다고 약속했다. 학자는 이틀 동안 아이들에게 돈을 주었다. 그러나 셋째 날에는 돈이 부족하다며 50페니만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다음날에는 돈이 부족하다며 10페니만을 주었다. 아이들을 불평을 하며 그런 거래를 계속하는 것을 거절했다. 아이들은 스스로 떠나버렸다.

위 사례에서 보듯 보상에 의해서 유발된 동기는 보상을 받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보상에 의한 동기를 지속시키려면 계속해서 보상이 제공되어야 한다. 학습 방법을 안내하는 서적 등에서도 아동에게 물질적 보상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이야기 하지만 잘못이다. 보상에 의한 동기 유발은 공부의 폭도 좁고, 보상이 중단되면 공부도 중단된다. 결국은 학생이 능동적으로 능력을 발휘하고 실천적 의지를 보이는 환경을 제한하게 된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인정과 격려는 필요하다. 이러한 행위는 자아욕구나 자아실현 욕구와 같은 성장 욕구를 충족시켜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낸다. 내적 동기에 의한 활동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되기 때문에 교육에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보상 교육은 오히려 이러한 내적 동기를 훼손시킨다. 일반적으로 외적 동기는 내적 동기에 비해 강도도 약하다. 그리고 외적 동기는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외적 동기는 지나치게 사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사탕을 주는 행위는 생산 현장의 금전적 보상에 지나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단순 노동 현장에서 사용하는 동기 유발 방법이다. 보상으로 아이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은 아이들은 단순노동자 체질로 만드는 행위다. 보상 교육은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과 부진한 학생들 모두에게 문제가 된다. 우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피상적으로 자신감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경쟁에서 앞서면 된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고, 비교 우위에 서기만 하면 된다는 학습적 해이를 낳는다. 부진한 학생은 학습 과정에서 늘 자기 패배감을 느낀다. 이런 과정은 공부에 대한 올바른 태도가 형성되지 않는다.

교사가 사탕을 주는 이유는 수업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그렇다면 수업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은 수업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 학생의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동기 유발을 하거나, 뛰어난 발문을 준비해 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바꿔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재 연구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 지도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학생들이 공부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누구나 공부를 잘하고는 싶어 하는 마음은 가득하다. 이 열정을 지피는 동기 유발이 필요하다. 일회성 물질적 보상은 오히려 그 마음조차 꺾어버릴 위험이 있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