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칠해진’ 것이 아니라, ‘까다로워’진 것

2012.06.20 09:26:00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원만하지 못하고, 성격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이런 사람은 대하기 힘들다. 상황에 따라 그냥 넘길 것도 바로 마음을 드러내고 주변 사람을 힘들게 한다. 그런 사람에 대해 주변에서 ‘까칠하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

○ 배우 엄기준이 자신의 실제 성격을 ‘까칠하다’고 밝혀. 그러한 이미지로 굳혀지는 것에 대한 걱정이나 부담은 없다고 웃으며 운을 뗐다(아츠뉴스, 2011.07.19.).
○ 작품 들어가기 전, 배우들끼리 상견례 자리에서 임수정씨가 ‘역할 때문에 까칠한 모습 보이더라도 이해해주십시오’라고 말하더군요. 실제로 까칠한 성격이 아니라 작품에 푹 빠져 있었던 거죠.”(세계일보, 2012.05.08.).
○ 비스트 이기광이 극중 이지아처럼 까칠해 보이지만 속내는 따뜻한 여자 좋다고 이상형을 밝혔다(파이낸셜뉴스, 2011.10.31.).

여기에 쓰인 ‘까칠하다’는 모두 성격이 쉽지 않다는 뜻이다. 따라서 ‘까칠하다’는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언제부턴가 ‘까칠하다’는 어떠한 말이나 행동이 조금 거친 것을 나타내기도 하고, 성격이 쉽지 않다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대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인다. 하지만 ‘까칠하다’는 성격을 표현할 때 어색한 말이다. 이는 ‘까다로운’ 것이 맞다.




‘까칠하다’는
야위거나 메말라 살갗이나 털이 윤기가 없고 조금 거칠다. ‘가칠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 거친 바닷바람에 그의 얼굴이 까칠하게 말랐다.
- 사십이 가까워 뵈는 사내가 까칠한 수염이 난 깡마른 턱을 치켜들며 손을 내밀었다.

사전의 의미로 볼 때 형용사 ‘까칠하다’는 주로 외모를 표현할 때 쓰는 말이다. 특히 살갗이나 털이 윤기가 없는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사람의 심리를 나타낼 때는 쓰지 않는 단어다. 일반적으로 성격이 별스럽다는 의미의 단어는 ‘까다롭다’를 써야 한다.

‘까다롭다’
1. 조건 따위가 복잡하거나 엄격하여 다루기에 순탄하지 않다.
- 조건(격식)이 까다롭다.
- 일이 까다롭다.
2. 성미나 취향 따위가 원만하지 않고 별스럽게 까탈이 많다.
- 까다로운 손님.
- 성격이 까다롭기로 이름난 선생님
- 천성이 까다롭다.

‘성미나 취향’이 유별날 때 ‘까다롭다’는 형용사를 많이 쓴다. 앞에 예를 든 것도 모두 ‘까다롭다’라는 형용사를 활용해서 쓰면 자연스럽다. 입맛에 대한 취향이 유별난 경우도 ‘입맛이 까다롭다’라고 써야 한다. 이 역시 ‘까칠하다’고 하는데 잘못이다.(슈퍼주니어의 려욱이 리더 이특의 입맛이 까칠하다고 폭로했다. 28일 방송된 MBC <놀러와>는 ‘요리의 제왕’ 스페셜로 꾸며졌다. - 엑스포츠뉴스, 2012.05.28.).
‘까다롭다’ 대신에 ‘까탈스럽다’고 하는 표현 하는 사람이 많다.

○ 까탈스러운 주인집 여자들이 시시콜콜 잔소리를 하고 구박을 해도 헤벌쭉 웃어넘기는 게 그녀의 으뜸가는 능력이었다(조선일보, 2011.06. 11.).
○ 이진욱은 극중에서 승부욕 강하고 까탈스러운 시나리오 작가 윤석현을 맡았다(이뉴스투데이, 2012. 06. 18.).
○ 지난해 펴낸 우리 땅 850km 종단기 「소심하고 겁 많고 까탈스러운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 여행」의 제2권이다(레이디경향, 2006.04.20.).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고(표준어 규정 제25항)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구마(참감자×), 고치다(병을 낫우다×), 알사탕(구슬사탕×), 언제나(노다지×), 언뜻(펀뜻×), 전봇대(전선대×)만 표준어로 인정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최근 언어학자들은 대체로 변화를 인정해 주는 경향이다. ‘까칠하다’의 풀이가 사전에 없다고 밀어내지 말고, 우리말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서 기꺼이 받아들이자는 주장이다.

그러나 한 나라 말에 방언을 비롯한 변종(變種)이 있으면 국민간의 의사소통에 불편이 생긴다. 한 국가에 언어적 통일이 이루어지지지 않으면 불편하다. 국가로서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일에 방해가 생긴다.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표준어를 정한다. 다시 말하면 표준어는 한 나라가 법으로 정하여 놓은 언어 규범이다. 그 나라 국민이면 다른 법을 지키듯이 적극적으로 지켜야 한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