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컨설팅을 하기 전에
컨설팅 의뢰를 받고 수업을 동영상으로 보았다. 수업을 직접 볼 때와 차이점이 많다. 우선 어려움이 많다. 녹화 상태는 그런대로 괜찮은데 소리가 잘 안 들린다. 듣고 또 듣고 하면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미심쩍은 부분은 다시 돌리고 보면서 거의 4시간이 걸렸다. 그래도 시원하지 않다. 답답하다. 렌즈가 한 곳으로 고정되어 있어 수업 상황을 도저히 파악할 수 없다. 교사의 지도 모습보다 학생이 무엇을 배우느냐에 초점을 두고 촬영한 의도는 알겠지만, 컨설팅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렇게 제대로 수업을 관찰하지 못한 상황에서 컨설팅을 한다니 조심스럽다. 자칫 일부만 보고 혹은 잘못 보고 왜곡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서도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이유는 컨설팅에서 컨설턴트는 의견을 제시할 뿐, 그 내용을 선택하고 수용하는 것은 의뢰인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야기하는 것도 여기에 초점이 있다. 나는 수업을 보고 이렇게 저렇게 해야 한다는 접근은 하지 않겠다. 형식화된 모형에도 집착하지 않겠다. 의뢰자의 수업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에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특히 수업을 보고 내가 몰랐던 것을 스스로 찾아보고자 한다.
2. 좋은 컨설팅을 위해 필요한 것
수업 컨설팅은 과거의 수업 장학 지도와 다르다. 수업 장학 지도는 수업만 보고 1회성 지도를 하는 경향이 많다. 수업 컨설팅은 수업은 물론 수업 전후 과정까지 협의와 지도 조언을 한다. 수업 전에 교수-학습 지도안 과정부터 공동 작업을 한다. 협의 과정에서 의뢰인은 수업 컨설팅의 영역에 대해 자세히 말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컨설턴트도 요구에 부응하는 컨설팅을 할 수 있고, 의뢰인도 필요한 영역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충분한 정보 교류로 둘 사이에 수업 방법 개선이라는 공동 목표가 원만하게 이루어진다.
사실 컨설팅을 할 때 수업 관찰 후 이것저것 지적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것보다는 수업 전 협의를 통해 지적할 사항을 미리 수정 보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수업 전에 의뢰인에게 고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파악을 한다. 그리고 수업 초안을 작성하여 함께 예상되는 수업 상황에서의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의뢰자의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을 줄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직접 만나기 어려울 때는 전화 및 기타 이메일 연락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이러한 단계는 컨설턴트와 의뢰인 간에 친근감과 신뢰감을 준다. 이러한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되면 상호 수용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 수업컨설팅의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런데 이번 컨설팅은 이러한 절차가 없었다. 아쉬움이 남는다.
3. 좋은 수업에 대해
수업 공개 때에 기자재를 필요 없이 무리하게 사용하는 때가 있다. 컴퓨터, 빔프로젝터, 기타 카세트까지 동원한다. 그리고 수업 때도 동영상 등 보조 자료를 많이 보여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수업 외적인 것인 경우가 많다. 그에 비하면 선생님의 수업은 이런 것이 없다. 거기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이 수업은 학생이 스스로 탐구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학습할 내용을 확인하고, 주제를 스스로 찾기를 한다. 이 과정에선 선생님은 ‘시적 대상에 느끼는 정서’가 주제라며 주제를 찾는 방법을 제시해 준다. 학습 목표가 정해졌고, 또 학생들이 주제를 찾는 학습 형태도 정해졌다. 다시 말하면 이 수업에서는 필요 없이 기자재를 동원할 필요가 없다.
이 수업의 핵심은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찾는 일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주제 찾는 방법을 직접 가르치기보다는 방법을 제시해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찾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만 비추어 보면, 그의 수업은 맨손 수업이라고 할지라도 수업을 통해 주제 찾기를 완성하는 목표를 충분히 도달하고 있다. 활동 중에 선생님은 학생들이 수행하고 있는 장면을 수시로 확인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자재 사용은 오히려 수업 목표와 방법을 흐트러지게 할 수 있다.
4. 전시 학습 확인과 동기 유발
선생님이 긴장한 탓인지 도입 단계에서 전시학습 확인 단계가 없었다. 미리 배포한 학습지도안에는 전 시간에 배운 정지용의 ‘향수’ 내용과 형식, 중심 정서를 상기시킨다고 되어 있다. 이때도 주의할 것이 있다. 바로 전 시간에 배운 지식을 단순히 상기시키는 전시 학습 확인 방법은 지양한다. 전시 학습과 오늘 배울 내용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상기시켜야 한다.
동기유발에 대해서도 생각을 바꿔 볼 필요가 있다. 선생님은 동기유발을 위해 자신의 과거 사진과 학급의 추억 거리 동영상을 제시했다. 시의 내용에 맞게 추억을 이야기할 수 있는 사진을 준비했다. 그러나 동기 유발은 도입 단계에서만 하는 것은 아니다. 선생님은 이런 생각에 빠져 있어 수업 시작 직후에 많은 공을 들여 동기 유발을 하고 있다. 동기 유발은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하다. 그리고 특정 단계에 꼭 특정한 활동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계적인 생각도 고쳐볼 필요가 있다. 매 시간마다 달라지는 교과의 내용과 학생들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전개될 수 있는 수업을 그려보는 것이 좋다.
5. 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울까
시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는 시교육의 중요한 요소이다. 시를 읽고 정서를 파악하고 주제를 통해 우리의 삶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은 문학 교육에 가장 기본적인 형태다. 이 수업에서도 학생들과 교사는 학습 목표에 매끄럽게 접근해 가고 있다. 교사는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묻고 주제를 찾아 간다. 교사의 훌륭한 리드에 학생들이 목표하는 바에 순순히 따라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러나 수업은 단순히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단순히 가르치는 것이라면 무슨 고민이 필요한가. 수업은 수업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리의 삶과 현실이 형성되어 나타난다. 순응적인 수업의 모습에는 교사와 학생의 어울림이 없다. 수업의 주체인 학생의 현재의 삶과 미래 삶에 대한 고민도 없다. 교과서를 가르치는 모습과 성실히 배우는 당연함만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성이 필요하다. 우선 시 감상을 혹은 텍스트를 표준화된 수업 프로그램으로 해석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시를 감상하는 일은 통일된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은 곤란하다. 더욱 개인이 처한 상황과 조건이 다양한데 수업 장면에서 통일적으로 적용되는 관점을 찾으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시의 내용이 ‘추억에서’라고 해 과거의 경험으로 치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오히려 학생 중에는 현재 자기 어머니가 처한 상황일 수도 있다. 그에게는 수업이 아니라, 개인의 비극을 후벼 파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는 학습 목표가 절대적이라는 것은 금물이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가 절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개별 학생의 실질적인 경험을 최대한 존중하는 방안을 모색하거나, 개별 감상의 폭을 인정하는 언급이 있어야 한다. 시를 감상하는 내용을 하나로 통일하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 특히 문학 감상은 일률적인 학습 정보를 저장하려는 유혹을 버려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감상을 하는 학습 프로그램만 요구하고 그 과정에서 느끼고 감상하는 일은 자기 스스로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에 따라 시를 읽고 현재 자신의 처지에서 해석하고 감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6. 남기는 말
동영상으로 수업을 본 결과 선생님은 수업을 잘하고 있다. 그런데도 공개 수업을 하고 스스로 부족한 것을 찾으려고 컨설팅을 의뢰했다. 이유는 그가 스스로 단련해 가려는 의도를 보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그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계속 성장해 갈 것이다.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노력하는 선생님의 태도는 우리 모두가 배워야 할 모습이다. 실제로 우리는 전문가라고 하면서 수업을 공개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그러나 뛰어난 프로선수도 자신의 동영상을 보며 코칭을 받는다. 마찬가지다. 우리도 우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수업을 공개하고 고칠 점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선생님의 수업은 훌륭했다. 수업에 대한 기술적 측면이나 혹은 기능적 측면에 대해서 언급할 것이 없다. 아쉬움은 우리가 함께 얼굴을 맞대고 협의를 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기대가 남는다. 혹시 이런 과정이 없었기 때문에 선생님 수업에 대해 잘못 이해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나의 잘못이다. 그런 점이 있다면 널리 이해해 주리라고 믿는다.
사실 수업 공개는 부담이 많이 간다. 그런데도 선생님은 시도를 했다. 이 시도는 당사자가 수업 기술을 향상시키려는 것이지만, 수업에 대해 함께 생각하고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장으로 초대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나를 포함해서 다른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