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인 배움은 위대한 일인데…

2013.03.14 21:41:00

경기 혁신학교, 교원들 자발성이 선결과제

"배운다는 것,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배울 것이 없다고 자만해서는 안 된다. 이 세상은 끝없는 배움의 연속이다. 배움을 포기한 사람은 늙었다는 표시이다. 죽음을 바로 앞 둔 사람은 배울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성장하고 향상하는 사람은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교장으로서 학생들에게 평소 강조하는 것이 배움이다. 위의 글은 우리 학교에서 학교안내와 신문을 겸해 발간하는 자료에 실린 학교장 이야기 일부이다. 그럼 배움은 학생에게만 해당될까? 아니다. 어른에게도 해당된다. 물론 남을 가르치는 교육자에게도 마찬가지다.

어제 수원교육지원청이 주관하는 '2013년 수원 혁신학교 클러스터 워크숍'이 능실초에서 있었다. 혁신학교 운영 9개교를 비롯하여 희망 혁신학교 50개교에서 교장, 교감, 혁신부장들이 모였다. 그러니까 모인 사람이 2백여명이 넘는다. 혁신학교 클러스터를 어떻게 운영하고 권역별로 연간 운영 계획을 협의하려는 것이다.


여기 모인 사람들 반응은 두 부류로 나뉜다. 교육청이 주관하니 시큰둥한 것이다. 또 혁신학교로부터 '한 수'(?) 배우라니 이게 못마땅한 것이다. 자존심이 상한 것이다. 더우기 강당에서 함께 특강 듣는 것까진 괜찮으나 직급이 다른 사람을 한 교실에 모아놓고 협의를 하라니? 아무래도 분위기가 어색하다.

그러나 긍정적인 교원도 있다. 어짜피 일반학교에서 희망을 한 것이기에 여기까지 온 것이다. 강제가 아니다. 그러니 한 수 배워가는 것도 괜찮은 것 아닌가? 혁신학교가 우수교라는 것은 아니다. 일반학교의 우수한 점을 혁신학교에서 배울 수도 있는 것이다. 서로가 우수한 점을 배우려 할 때 우리 교육이 발전하는 것이다.

배우려는 사람의 특징을 살펴본다. 우선 얼굴 표정이 밝고 눈빛이 반짝인다.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더 나아가 메모를 하며 듣는다. 아마도 머릿속으로는 발언 내용을 분석하며 평가도 할 것이다. 말하는 이의 의도를 파악하며 받아들일 것과 버려야 할 것을 생각한다. 듣기의 바람직한 태도이다.

정반대의 사람도 있다. 이런 모임에 참석한 자체가 불평불만이다. 빨리 끝나기를 기다린다. 얼굴 표정엔 짜증과 지루함이 묻어난다. 상대방의 말을 건성으로 듣는다. 혹시 상대방에게 잘못된 발언이 있으면 즉시 공격하여 자기의 우월함을 과시하려 든다. 그게 자존감을 높이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것이다.

교육자의 '그 알량한 자존심'이 문제다. '내가 교직경력이 20-30년이 넘는데, 내가 이 분야에선 최고인데, 내가 최고경영자인데 누구한테 배우라고? 웃기고 있네!' 혹시라도 이런 생각이 있다면 배움은 끝이다. 이 자리에 잘못 온 것이다. 환갑 넘은 노인도 어린아이한테 배울 것이 있다고 하지 않은가?

혁신학교 자랑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혁신학교는 학교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구성원들의 수 많은 협의를 통해 중지를 모으고 실천에 옮겨 여기까지 온 것이다. 혁신학교의 노하우, 그냥 거저로 생긴 것이 아니다. 선진학교 방문도 하고 학교 여건에 맞게 재구성도 하고 난상토론도 하고. 때론 시행착오도 거치면서 성공사례를 만든 것이다.

얼마 전 도교육청 혁신학교 연구회 연수 모임에서 모 초등학교 교장 이야기가 지금도 생생하다. 혁신학교로 지정을 받아 이웃의 앞서가는 혁신학교 프로그램을 접목시켰더니 모두 실패했다고 자인한다. 이웃학교 성공 프로그램이 우리학교에서도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학교 여건에 맞게 재탄생되어야 한다. 그러나 혁신학교 마인드는 성공했다고 고백하고 있다.

배운다는 것, 마음의 자세가 중요하다. 특히 내재적 자발성이 있을 때 배움의 성과도 나타난다. 배우려는 마음이 없고 타의에 의해 억지로 이끌리면 성과도 미미하고 시간 낭비가 된다. 혁신학교 운영은 교육공동체가 한 마음이 되어야 한다. 좋은 학교, 행복한 학교, 선진학교를 만들기 위해 사명감으로 교육열정을 불태워야 한다. 누가 시킨다고 되는 것 아니다. 경기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혁신학교 시즌 2, 교원들의 마음 움직이기가 선결과제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