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 때 선생님 도시락, 어떻게 변했을까?

2013.05.30 18:39:00

옛날엔 우리 사회에서 스승, 은사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만치 스승 존경 풍토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냥 선생님이다. 사제관계를 찾아보기 어렵다.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이 인생의 가르침을 주는 분이 아니다. 소풍 때 선생님 김밥을 당연히 챙기는 학부모도 보기 드물다.

교육경력 36년차인 필자. 교사 시절, 학생들과 소풍도 많이 갔다. 에피소드와 아련한 추억도 많다. 30여년 동안의 교직경험을 바탕으로 소풍 때 학생들이 싸온 선생님 도시락 변천사를 알아본다.


■1977년 용인 ○○초등학교 : 걸어서 소풍을 가는데 학부모들이 함께 따라온다. 주로 어머니들인데 머리에는 짐을 하나 올렸다. 그 당시 소풍은 원족이라고 먼 거리를 걸어서 가는 것이다. 목적지에 가서 자식들과 함께 먹을 음식 보따리다. 물론 교감 선생님과 여러 선생님들 먹을 음식도 포함되어 있다. 집에서 정성들여 만든 음식이다.

학부모가 동행하지 않을 경우, 반장이나 부반장 그리고 공부 잘하는 모범생의 어머니는 자식 김밥 이외에 선생님 김밥을 싸서 보냈다. 대략 한 반 인원이 40명으로 보면 5명 정도가 선생님용으로 김밥을 내어 놓았다. 그 뿐인가? 어린이들은 유리로 된 음료수 한 병을 가져와 선생님께 드리는 풍속이 있었다.

■1980년 수원 ○○초등학교 : 소풍 때 학급 임원진 어머니들이 김밥 싸서 보내고 후식으로 과일, 맥주까지 챙긴 것으로 기억한다. 그 당시에는 촌지가 있었는데 소풍날 학부모가 학교에 잠시 들려 담임께 그것을 전달하기도 했다.
열성적인 학부모는 미리 소풍 목적지에 도착해 돗자리를 깔고 음식을 펼쳐놓아 담임을 대접했다. 차려진 상차림에 따라 학부모에 따라 교육열정 점수가 매겨지곤 했다.

■1986년 남양주 ○○중학교 : 선생님은 학생들이 역할 분담해 맡은 학생 한 명이 김밥 도시락 하나가 달랑이다. 캔 음료수 하나 곁들인다. 그러나 관광버스 기사를 잘 챙긴다. 출발전에 흰장갑과 담배 한 갑을 건넨다. 그리고 점심시간에 김밥도시락 하나. 아마도 학생들이 학급회의를 통해 나누어 맡은 것이리라.

■1988년 오산 ○○여중 : 학급회의를 통해 소풍 때 필요한 물건을 학생들이 나누워 맡는다. 예컨대 돗자리, 도시락, 음료수, 맥주, 과일, 안주 등을 나누어 맡는다. 주로 희망자가 우선이지만 없을 경우에는 강제 배정한다. 이 학교 학생들은 교육이 잘 돼 있어 소풍 때 자기 쓰레기를 모두 되가져가는 것을 보았다.

■1992년 수원 ○○중학교 : 그 당시 1학년주임을 맡았는데 학급반장을 모아 선생님들 점심으로 김밥, 찌개거리 등을 준비시켰다가 교감 선생님께 꾸지람을 들었다. 학부모에게 억지로 부담시키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이었다. 주임으로서 앞자락이 넓어 담임들 몫까지 챙긴 것이 불찰이었다. 소풍 목적지가 놀이공원일 경우, 아침에 학생들이 챙겨준 도시락 들고 다니다가 선생님들끼리 그늘에 모여 김밥 먹고 오는 것이 고작이었다.

■2004년 안산 ○○중학교 : 관광버스 타고 소풍을 떠나는데 학년 별로 학부모대표들이 선생님들 먹을 점심을 한 박스 차에 실어준다. 거기에 학년담임들이 점심시간에 모여 먹을 음식 일체가 포장돼 있다. 아마도 학부모회 조직이 잘 돼 있어서 그런 준비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2013년 수원 ○○중학교 : 세월 많이도 변했다. 학생들도 집에서 어머니가 싸 주는 김밥 대신 가게에서 김밥을 사 온다. 아예 맨손으로 오는 학생도 많다. 그 대신 지갑에는 돈이 들어 있다. 식당에서 음식을 사 먹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니 학생들이 어머니가 싸 준 도시락을 담임에게 건넬 수 없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가져오는 도시락은 아예 포기했나 보다. 선생님용은 가게에서 주문 도시락으로 하든가 현지에서 매식으로 해결한다. 행정실에서는 급양비 포함한 출장비를 사전에 현찰로 지급한다. 학교에서 공금으로 주니 학부모나 학생들에게 신세지지 말고 사 먹으라는 뜻인가?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