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원일초 환경봉사동아리, 서호와 농업과학관 견학

2013.07.21 18:02:00

오산 원일초 환경봉사동아리 30명, 지도교사 2명, 학부모 3명이 20일 오전 수원에 있는 서호를 찾았다. 동아리 지도교사인 정진남 선생님은 해마다 학생들을 인솔하여 이 곳을 찾고 있다. 우리 고장에 대해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다. 연간 계획을 세워 놓고 예산도 확보해 놓았다.

이들이 제일 먼저 도착한 곳은 항미정. 정 교사는 안내를 맡은 필자를 소개한다. 첫번째 베이스 활동인데 이 곳에서 배우는 것이 제일 많다. 우선 참가한 프로그램 이름. 정자 이름, 정자 이름의 유래, 저수지 이름, 제방 이름, 수원 8경 중 서호낙조, 여기산에 잠든 우장춘 박사, 서호의 축조 연도, 인공저수지를 만든 이유, 그 당시 농업이 중요했던 이유, 정조대왕의 애민정신 등.




피드백으로 형성평가 10문제를 낸다고 하니 어린이들이 스마트폰을 꺼낸다. 기록으로 남기고 메모를 하려는 것이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은 많이 알려졌어도 수원의 저수지 서호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수원에 사는 사람들도 서호가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른다.

몇 년 전 서호 인근에 있는 숙지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호사랑 봉사학습 체험교실'을 몇 차례 진행한 적이 있다. 학생들 중 참가 소감으로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것 하나. 등하교 때마다 이 곳을 몇 년 간 지나쳤지만 서호에 이런 역사가 있는 줄 몰랐다고 고백한다.


흔히들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고 한다. 그런데 누가 알게 해 줄까? 본인 스스로 관심이 있으면 대상에 대해 조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공부에 바쁜 학생들, 시험에 나오지 않는데 스스로 공부하게 하기 어렵다. 교사 등 지도자가 학생들의 체험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서호에 있는 다리 이름이 축만교다. 제방은 축만제다. 학생들에게는 한자 풀이로 쉽게 설명한다. 빌다 축(祝), 일만 만(萬), 다리 교(橋), 제방 제(堤). 만(萬)은 일 만 석 즉 풍년으로 풀이한다.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다리, 풍년을 기원하는 방죽이다. 조선시대만 해도 농업이 국가의 기본이었다. 농업용수 공급은 그래서 중요하였다. 나라에서 인공 저수지를 만든 이유다.

두번 째. 제방둑 소나무에서는 소나무의 나이를 계산한다. 서호의 축조연대가 정조 23년 1799년이니 계산을 하면 답이 나온다. 최소 210년이 넘는 노송이다. 그 동안 관리 소홀로 한 그루가 죽어 그루터기만 남았다. 이 정도 수령이면 최소 1억원 이상이다. 아니 돈으로 환산하기 어렵다.




새싹교 아래 잔디밭에서는 이런 질문을 한다. 서호에서 수영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학생들은 오염의 심각성을 아는지 금방 '죽는다'라고 답한다. 죽지는 않겠지만 피부질환을 앓아 건강을 해칠 것이다. 수질오염의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을 1:1 식으로 지도자에게 말하면 통과다.

마지막 코스는 농촌진흥청 내 농업과학관. 홍보영상을 보고 기념사진을 촬영한다. 이 곳에서는 단체 견학이 끝나면 1인당 1매씩 기념사진을 나누어 준다. 제일 먼저 공부하는 것이 '농사의 신' 벽화다. 머리는 소 모양인데 손에는 벼이삭을 쥐었다. 고구려 시대 벽화인 것이다.

안내자가 코너 별로 설명을 하는데 어린이들은 스마트폰으로 사진찍기에 바쁘다. 녹색혁명, 백색혁명, 농촌지도사들이 타고 다니먼 녹색 오토바이, 채소 이식기 등이 기억에 남는다. 이 곳은 탈북자들도 월 1회 정도 찾고 있는데 우리나라 1960년대 농사짓는 모습 사진을 보고 북한의 현재 모습이라고 말한다고 전해 준다. 그렇다면 북한과 우리나라는 농업발달면에서는 50년 이상 차이가 난다.

이제 마무리 시간이다. 오늘 3시간 정도 배운 것을 복습해야 한다. 형성평가를 하면서 정리를 하는 것이다. 정답을 맞춘 어린이는 기념사진을 받고 버스에 승차한다.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라고 하니 서호의 축조연대, 서호에만 살았던 민물고기 이름, 서호에 있는 정자이름, 정조대왕의 위민정신, 축만교와 축만제 등이 나온다. 이 정도면 답사여행이 합격일까?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