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껌 900통이 왔어요”

2013.09.04 09:39:00

오늘 우리 학교 학생부에 모 제과 수원지점에서 전교생에게 나누어 줄 껌 900통이 도착하였다. 학교와 껌은 상극! 선생님들은 껌 씹는 학생들을 싫어한다. 공부 시간에 씹는 모습이 공부를 방해한다고 생각하고 그 뒤처리가 말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무슨 일로?

교사 시절 껌에 관한 추억! 껌은 학교 소풍 등 어디 놀러 갈 때 씹으면 제격이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공부시간에 씹어 수업을 방해한다. 게다가 다 씹고 난 껌은 종이에 싸서 휴지통에 버려야 하는데 맨 껌이 의자에 묻으면 옷을 망치게 된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강조한 것은 “껌은 놀러 갈 때 씹고 뒤처리를 잘하자”였다.

요즘은 기능성 껌이 다양하게 나와 있어 껌을 이용하는 사람도 늘었다. 식후에 껌을 씹는 것이 습관화된 사람도 있다. 그러나 단물이 빠지고 난 껌을 그냥 ‘퉤’하고 내뱉으면 바닥이 지저분해진다. 신발에라도 묻으면 기분 언짢아하면서 힘들게 떼어내야 한다.




그래서 품은 소박한 작은 꿈 하나. 내가 교장이 되면 “껌 제조회사의 협조를 받아 껌 씹는 방법과 뒤처리 방법 교육시켜야지!” 였다. 껌을 씹지 말라고 강요만 할 것이 아니라 제대로된 교육을 해 보자는 것이다. 존 듀이의 교육이론 ‘배운대로 행한다(Learning by doing)’는 지금도 유효하다.

그런데 학교현장은 어떠한가? 보도블럭이나 복도, 심지어 교실 바닥에 보기 흉한 껌자국이 있다. 창밖 화단은 학생들이 버리는 껌이 수시로 떨어진다. 학교뿐이랴! 도시미관을 해치는 것이 보도블럭의 껌자국이다. 학생들이 벌 청소 봉사로 껌떼는 작업을 하기도 한다.

껌 900통 어떻게 할까? 재학생 1인당 한 통이다. 그렇게 나누어주면 무의미하다. 교육이 뒤따라야 한다. 처음엔 방송교육으로 교장이 시범을 보이려 했다. 그러나 그게 아니다. 학생들과 가까이 지내는 교과담임이 지도해야 효과가 있다.

우선 교사연수에서 교사들이 직접 체험을 한다. ①껌 종이껍질을 벗긴다. ②종이는 옷주머니에 넣는다. ③껌을 소리내지 않고 입 모양 예쁘게 하여 씹는다.(3분∼5분) ④주머니에서 은박지와 종이를 꺼낸다. ⑤씹고 난 껌을 은박지와 껌종이에 두겹으로 싼다. ⑥쓰레기통에 가서 그 곳에 버린다.

이런 연수를 마친 후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껌을 학급인원수 만큼 가져간다. 수업을 하다가 시작이나 끝부분 적당한 시간에 껌 교육을 시키고 직접 체험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 정도 수량이면 학급당 4∼5회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런 말이 있다. “아는 것이 힘이다. 그러나 실천하는 것은 더 큰 힘이다” 알면 무엇하는가? 실천이 뒤따르지 않는 지식은 아무런 쓸모가 없다. 껌 뒤처리 방법은 누구나 다 안다. 다만 실행이 문제다. 껌종이 벗기고 난 후 버리지 않고 보관해야 하는 껌종이가 중요하다. 그러면 뒤처리가 제대로 된다.

교장의 작은 교육철학 아이디어를 교육현장에서 행할 수 있게 업무를 추진하여 준 교감선생님이 고맙다. 우리 학교의 껌 뒤처리 문화 교육을 이해하고 지원하여 준 관계회사도 고맙다. 누군가 해야 할 일, 교육자가 먼저 실천하면 모범이 되므로 더욱 아름답다. 교육이 중요하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