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고 학창시절의 추억

2013.09.23 12:39:00

1972학년도 입학시험을 통해 수고인이 되었다. 시험 당시 15살 위인 큰형이 휴가를 왔었나 보다. 해군인 형은 시험 잘 보라며 자기의 손목시계를 빌려 주었다. 시간 조절하면서 시험을 보라는 뜻이었다. 사회 시험 문제로 기억나는 것 하나. 당시 유엔사무총장 이름을 묻는 문제도 나왔다. 손목시계는 고2 때 처음으로 착용하였다.

1학년 때 태권도부에 가입하였다. 선배들이 교실을 찾아다니며 부원을 모집하였다. 방과후 강당에서 연습을 하였는데 도복은 창고에 쌓여있는 것 중에서 깨끗한 것을 골라 세탁해 사용하였다. 흰띠, 노란띠 입장에서 붉은띠, 검은띠가 그렇게 우러러 보일 수 없었다. 3학년 검은띠와 대련을 붙다보면 힘이 벅차 숨이 차오른다. 그것을 견뎌가며 실력을 쌓았었다. 그런데 무슨 연유에선지 우리들은 후배들을 뽑지 못하고 해산하게 되었다.

고교시절 중 큰 변화라면 2학년 때 응원부에 가입한 것. 수줍음 잘 타는 내성적인 성격인 내가 어떻게 할 수 있었는지 지금도 대견하다. 수원시학생체육대회를 앞두고 카드섹션, 박수 등을 앞에서 이끌 사람이 필요했었는데 아마도 당시 홍순복 선생님의 격려가 힘이 되었던 것 같다. 친구와 함께 2․3박수, 기차박수, 337박수를 연습하고 공설운동장에서 응원을 하였다. 특히 밴드 연주에 맞추어 카드 율동을 선도하였다.

학교 밴드부가 있었다. 조회시간에 국민의례, 교장선생님께 대한 경례, 퇴장시 행진곡 연주를 하였다. 학창시절의 모교 밴드 연주는 학교생활을 신바람나게 해주었다. 연주되는 곡목은 재학생 대부분이 입으로 흥얼거릴 정도 였으니 음악에 대한 안목을 높게 해주었다. 지금도 생각나는 곡은 베사메무쵸, 다이아나(Diana), 빗줄기의 리듬(Rhythm of the Rain), 영광의 탈출(Exodus) 등이 떠오른다. 다만 밴드부에 대한 인상은 좋지 않다. 공부 잘하는 모범생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먹 깨나 쓰는 학생들이 밴드부였기 때문이다.


고교 1학년이면 한창 성에 눈을 뜰 나이. 학교에 저급 3류소설을 몰래 가져오는 학생도 있었다. 출판사도 없고 겉표지도 없는 섹스소설이다. 쉬는 시간에 친구들과 함께 잠시 읽는 몇 줄은 얼굴을 벌겋게 달아오르게 하였다. 하이틴잡지 펜팔란에 주소가 오른 친구는 여학생으로부터 온 편지를 자랑하기에 바빴다. 여학생을 사귄다는 것 자체가 우상이 되기에 충분했다.

선생님 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도 보았다. 교련선생님과 체육선생님. 학교에서 교련시간에 신을 구두를 맞추었다. 그것을 교련시간에 신으면 좋으련만 학생들은 체육시간에 신었다. 화가 난 선생님, 학생들에게 그 구두를 시멘트벽에 던지게 했다. 다시 주워와 반복해서 던지는 것이다. 그 장면을 교련선생님이 보고 그냥 지나친다.

방과후와 휴일, 도서실에서의 자율학습은 공부에 재미를 붙게 해 주고 대학에 들어가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 당시 읽었던 한국문학은 간접세계의 경험을 넓혀주었다. 또한 3학년 때인가 ‘수고학보’를 처음 만들었다. 학교 홍보차 만든 것인데 기자가 되어 활동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 아마도 이런 것이 국어교사가 되는데 작용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교직에 있으면서 교지와 학교신문을 만들고 지금의 한국교육신문 리포터, e수원뉴스 시민기자도 그 연장선상일 것이다.


컨닝의 부끄러운 추억도 있다. 수학시험 문제를 푸는데 연습한 시험지를 보고 풀다 걸린 것이다. 교육실습생이 시험 감독이었는데 증거자료를 압수당하였다. 지금 생각하니 해당 과목은 0점 처리가 되고 징계감이다. 그러나 일이 확대되지 않고 없던 일처럼 처리되었다. 그 이후 낙제점을 맞으면 맞았지 컨닝은 멀리하게 되었다.

대입체력장. 예비고사 점수로 체력장 점수 20점 들어간다. 100미터, 턱걸이, 윗몸일으키기, 왕복달리기, 오래달리기 등이었는데 점수 환산은 나이에 기준이었던 것. 호적 나이가 세 살 줄었기 때문에 다른 학생보다 유리하였다. 오래달리기를 하다가 힘들면 잠시 걸어도 만점 받는데 지장이 없었다. 그 당시 어떤 친구 목소리, “어, 저렇게 걸어가도 되는 거야!”

인문계고의 목적은 대학입학. 집안 형편을 감안하여 공군사관학교를 지망했다. 담임선생님께서도 “네 실력 정도면 합격할 수 있겠다”며 추천하여 주셨다. 원서를 쓰려는 순간 ‘헉, 이럴 수가?’ 입학자격에 생년월일 제한이 있는 것이었다. 아마도 같은 연령의 학생을 신입생으로 받으려는 것. 호적 나이가 세 살 아래인 나는 입학할 자격이 안 되었다. 씁쓸한 마음으로 뜻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대신 인천교대에 서류를 넣고 본고사를 보았다. 합격을 하고 교무실에 가서 선생님께 말씀을 드리니 교감선생님께서 직접 교무실 칠판에 ‘仁川敎大 合格 李榮寬’이라고 쓰셨다.

만약 나이가 제대로 호적에 올라 공군사관학교에 합격을 하고 임관을 했다면 지금 계급은 무엇일까? 온전히 진급하여 별을 달았을까? 상상이지만 사람의 운명이 바뀌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교대에 들어가 교편을 잡고 전직하여 중등교사가 된 것은 운명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장학사, 교감을 거쳐 교장이 되었다. 지금 기준으로 교장 7년차이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