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뜨는 이야기

2014.04.08 13:42:00

사실 따지고 보면 교사들은 지방선거에서 누가 시장이 되고 누가 구청장이 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 시장이라고 하면 시민들 위해서 열심히 하는 사람이면 좋겠다는 정도의 이야기는 한다. 구청장도 마찬가지이다. 누가 구청장인지 어느당 출신인지 잘 모른다. 거주지와 근무지가 다르다면 양쪽의 구청장을 꿰고 있는 경우가 흔하지 않다. 예비후보자들이 난립해도 어떤 후보가 적임자인지 잘 모를 뿐더러 관심도도 높지 않다.

그러나 교육감 이야기가 나오면 사정이 달라진다. 어떤 후보가 교육감이 되는가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다. 교사들의 성향에 따라 지지하는 후보가 다르겠지만 공통의 관심사는 후보의 성향이 전부는 아니다. 해당 후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이야기이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는 '학교 사정을 잘 아는 교육감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누가 교육감이 돼도 괜찮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의 추진에서 학교를 소외시키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어떤 철학을 가지고 어떤 정책을 펼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이야기이다. 가령 자유학기제가 현실에 맞는가. 교육감이 바뀌면 어떻게 될까. 혁신학교는 또 어떻게 될까. 특목고 문제는 어떻게 될까. 정부의 입장과 달리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이 있을까. 교원정책은 어떻게 펼칠까. 학교의 시설개선에 관심이 얼마나 있을까. 인권만 보편적 가치로 삼는 상황에서 교권의 확립은 어떻게 될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은 어떻게 확보해 줄까. 학교스포츠 클럽은 개선의 여지가 있을까 없을까. 학교의 냉 난방은 언제부터 제대로 틀고 수업을 할 수 있을까. 

대략 이런 쪽에 관심이 많다. 이런 정책을 계속해서 추진하고 안하고의 문제보다는 정말로 학교의 사정을 알고 있는가에 대해 더 관심이 높은 것이다. 교사들이 어렵다고 하는 정책을 그대로 추진할 것인가 아니면 교사들과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부정적 요소가 많다면 추진하지 않을 것인가. 외국의 이야기만 하면서 무조건 추진하지 않을까라는 우려를 하기도 한다.

이런 이야기들이 학교에서 뜨는 이야기이다. 서로의 생각은 달라도 교육감이 되는 사람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있다. 진보성향이니 보수성향이니 이런 이야기 보다는 정책의 추진에 관심이 많다. 결국 학교를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이고 교육을 위해 투자해야 하는 우선 사업이 무엇인가 제대로 알고 있는 후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교육감이 되기 전과 후에 달라진다는 이야기를 하는 교사들도 있다. 그동안 많은 교육감들이 당선 전 후의 생각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고 느낀 것이다. 학교를 잘 알만한 교육감도 어느새 학교의 사정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학생들을 위한 일보다 일회성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한 비난을 하기도 한다. 학생과 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의 추진을 원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의 현실을 정확히 알아 줬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학교의 사정을 정확히 모른다면 정책 추진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도 교사이기 때문에 교육감 선거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교육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예산확보 결단 없이 맛보기식 정책만을 고집한다면 교사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학교에서 현실에 맞지 않는 것을 규제하여 일률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정책들이나 학교의 입장에서 볼때 득보다 실이 많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로 학교를 이해하지 못하기 대문에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어떤 교육감이 어떤 정책을 어떻게 펼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만큼 이번 지방선거에서 당선되는 교육감은 학교를 잘 이해하고,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학교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인사가 당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요즈음의 보편적인 이야기이자 관심사이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