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교권 붕괴, 교권 실추 등의 말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교권이라는 말을 정의한 곳은 흔치 않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교사로서 지니는 권위나 권력’으로 정의하고 브리태니커대백과사전에는 교육권에 대한 정의는 있지만, 교권에 대한 정의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권이라는 말은 신문기사, 방송보도 등에서 시작된 말로 ‘교권 실추’, ‘교권 붕괴’ 등과 같이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사용되고는 한다.
누구나 자주 사용하는 단어 ‘교권’이라는 말, 우리 사회 교권 문제는 심각하면서 정작 ‘교권’이라는 말의 쓰임은 두루뭉술 분명치 않은 것이다.
교권이라는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정의대로 해석하면 일종의 권력(Power)이나 권위(Authority)를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권력으로서의 교권(Power)은 사회적인 지위로서 부여받은 것을 말하며 권위(Authority)로서 교권은 내부에 작용하는 힘(예를 들면 존경심, 친밀성, 전문성 등 리더로서 지녀야 할 자질 등)으로 구분할 할 수 있다.
진정한 교권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교권이 땅에 떨어졌다.’ ‘아이들 가르치기 힘들다.’ ‘요새 아이들은 예전과는 다르다.’라는 말을 자주 듣고는 한다.
교권이 권력으로서의 교권(Power)을 말한다면 노동권, 인권 등과 같은 일종의 사회적인 힘(일종의 단체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노동권의 경우 쟁의라는 법적 행위를 통해 쟁취하는 데 반해 교권을 쟁의 형태로 쟁취하거나 빼앗는다고 해서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있을까?
이러한 방식에 의존하여 교권을 지킨다면 눈앞의 교육은 이루어질지 모르지만 궁극적으로는 교육을 망치는 길이다. 왜냐하면 교육은 단순한 지식전달이나 대입 합격자 수, 취업자 수와 같은 외형적 성과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 영향력(감사, 존경심 등)을 주고받는 일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교권이 실추는 인간적인 영향력을 주고받는 일을 도외시하고 외형적 성과에 치중하였기 때문이다.
진정한 교권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내부에 작용하는 힘(예를 들면 존경심, 친밀성, 전문성, 리더로서의 자질 등), 즉 권위(Authority)이다.
의사의 경우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충실한 책임감, 전문성, 인간적인 자질 등이 충분한 사람을 명의하고 존경한다. 법관도 마찬가지다. 정의의 여신의 저울추가 올바를 때 포청천이라고 존경받을 수 있다.
교권 붕괴 책임, 교사가 먼저 생각해 봐야
요즘 아이들 가르치기 힘들다고 말하는 선생님이 많다. 다른 반은 발표도 잘하는데 우리 반 아이들은 발표도 못하고 생활태도도 엉망이라는 선생님도 있다. 학부모 등쌀에 맘고생이 심한 선생님도 있다.
이러한 선생님은 교사로서의 권위(Authority)가 문제다. 즉 자신의 가르치는 방법을 바꿔볼 필요가 있다. 가르치는 행위는 지식을 넣어주는 일보다 영향력을 주고받는 일이 아닐까? 따라서 이러한 능력에 대해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 위해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히 가르친다는 것 이외에 감정이입 기술, 의사소통 기술, 교육관과 교사 리더십, 학부모 관계 기술, 자기 통제력 등 학급 집단을 이끄는 스승으로서의 자질일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우리 교사들이 배우고 생활하던 시절과 다른 환경 속에서 자라왔다. 가족 관계부터 다르다. 한둘 낳은 자식, 맞벌이 부모, 가정에서의 대화는 부족하지만, 학원이면 다 된다는 과잉기대 형, 과잉보호 형, 결손 가정 자녀, 조손 자녀, 다문화 가정 자녀 등 다양하다. 선생님도 학원선생님, 특기적성 선생님 등 한둘이 아니다. 이러한 아이들과 감정을 주고받고 이해할 줄 아는 의사소통 기술이야말로 요즘 교사들에게 필요한 능력이다.
교권 추락의 원인 교사 자신에게도 한 번쯤 물음표를 던져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