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과 찾아온 분단과 김일성의 전쟁 음모

2016.06.21 09:18:00

해방과 동시 찾아온 38선을 바라보는 심정은 이승만이나 김일성, 남북한 정치지도자들에게는 비슷했다. 38선은 하나로 살던 나라가 둘로 나누는 분단의 상징이었다. 그것은 또한 일제에게 몸 바쳐 싸워온 조국 독립의 결과가 분단으로 쪼개져가는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떻게 정권을 잡는가 하는 것이 문제였다. 해방 후 남북의 정부수립과정을 살펴보자.

1947년 9월 19일 미국이 한국 독립 문제를 유엔 총회에 부의하여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한다고 결의함에 따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이 만들어지고 신탁통치를 종식하고 독립 국가를 세울 준비에 착수하였다.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은 1948년 1월 초순 위원단이 남한에 들어와 임시정부 법통을 이어받은 통일정부 수립을 지원하고 있을 동안 북은 김일성이 소련을 등에 업고 그들만의 정권 수립을 저울질하고 있었다.
남과 북은 자주적인 정부수립을 가로 막는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저마다 시위를 벌렸다. 그러나 소련의 사주를 받은 김일성은 돌연 신탁통치 지지로 의견을 바꿨다. 뿐만 아니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입국도 거부했다. 남북 분단이 기정사실화된 것이다. 북의 태도에 김구, 김규식 등은 통일된 정부 수립을 설득하려고 북을 방문하여 김일성을 면담했지만 빈손으로 들어왔다.

남한은 유엔의 결의 하에 1948.5.10. 총선거 준비를 하는 동안 북은 속도 조절을 하고 있었다. 남한이 총선거를 마쳤다는 소식이 들리자마자 소련을 등에 업은 김일성은 정권 수립에 착수하였다. 이와 함께 남조선 해방을 꿈꾸며 차근차근 전쟁준비에 몰두하였다.
하지만 남한은 정부수립이 마무리되던 다음해 한국에 주둔하던 미군이 떠나고 말았다. 그리고 미군이 가지고 있던 무기도 오키나와로 이전시켜버리고 말았다.
그러나 자유롭게 왕래했던 38선은 점점 통제가 심해져가고 날이 갈수록 38선에는 작은 싸움이 그치지 않아 군사적인 대립까지 치달았다. 뿐만 아니라 남북은 점점 더 이념적 대립의 길로 들어갔다.

한편 미군이 철수한 그해 가을 북에는 중국공산군(팔로군)과 소련 군사고문단이 들어가고 조선족 군인들이 탱크, 대포, 차량 등을 압록강 철도로 운송하여 평양거리는 솜옷 입은 군인들로 가득 찼다.
북한군 고급장교의 증언에 따르면 김일성은 1950년 3월 스탈린을 방문하여 6·25전쟁 작전계획을 극비리에 작성하였는데 소련 고문단 와씰리에프 중장, 뽀쓰트 니꼬브소장 등이 주동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이후 소련은 북한군에 3,000여 명의 작전고문관을 배치하여 직접 남침훈련을 시켰으며, 소련 출신 한인들을 중심으로 제105전차여단을 창설하였고, 해군과 공군의 창설을 지원하였으며, 내무성 산하의 보안대, 경비대 등의 이름으로 막강한 군사 예비대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남침준비가 완료되자 소련 군사고문단은 1950년 6월초 개전이 임박하여 북한에서 철수함으로써 그들의 남침기도를 은폐하였다.
결국 김일성의 무력통일 야욕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결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1945년 '조소 군사 비밀협정'
2) 1949년 중공과의 '상호 방위조약' 및 중국대륙의 공산화
3) 1949년 미군의 한국에서의 철수
4) 1949년 스탈린의 무력침공 승인
5) 1950년 애치슨 성명(한국, 대만의 극동 방어에서의 제외) (계속)
김완기 로봇에게 쫓겨난 대통령 동화작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강주호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