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취임했다. 도 장관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청산과 재발 방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문체부 자체 진상조사위원회를 15명 규모로 구성해 3개월 정도 운영하고 필요하면 1개월 정도 연장할 생각"이라고 말한 것.
도 장관은 "핵심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책임져야 할 사람들은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팔걸이 원칙)을 지키겠다”는 다짐도 했다. 박근혜정부가 참 쪼잔한 정권임을 만천하에 드러낸 블랙리스트 사건이 관련자들의 재판과 상관없이 일단락된 모양새다.
블랙리스트는, 그러나 참 쪼잔한 정권인 박근혜정부에만 있던 것이 아니다. 블랙리스트는 방송과 신문 등 언론사에서도 그 추악한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예컨대 박근혜 당선인 시절인 2013년 1월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배우 김여진의 방송출연금지가 그것이다. 방송사의 정권 눈치보기 행태라고 할까.
이명박정권에서도 그런 일이 벌어졌다. 일례로 2009년 10월 9일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때 서울시청 앞 노제(路祭)의 사회를 보고 노무현재단출범 기념콘서트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개그맨 김제동 퇴출사건을 들 수 있다. 4년 동안 진행하면서 시청률 11~12%로 같은 시간대 1~2위 오락프로그램인 ‘스타 골든벨’ 사회자 김제동을 KBS가 교체해버린 것이다.
방송인 김미화는 2010년 10월 6일 KBS에 블랙리스트가 존재한다고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파문을 일으킨 김미화 블랙리스트 사건은 KBS의 고소취하로 일단락되었는데, 엉뚱하게도 MBC에서 불똥이 튀었다. 2011년 4월 MBC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김미화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사회자에서 물러나게 된 것.
2003년 10월부터 프로를 진행해온 김미화의 중도하차 역시 블랙리스트 논란과 닿아있다.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후보 지지,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과의 대화’ 행사에서의 사회 등이 이명박정권의 눈치를 보며 알아서 기는 방송사 행태와 맞물려 퇴출로 이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편 가르기의 절정처럼 보여 씁쓸함이 가시지 않지만, 블랙리스트는 방송사에만 있는 건 아니다. 방송과 함께 언론의 중요한 한 축인 신문사에도 블랙리스트가 엄연히 존재한다. 어느 유력 중앙 일간지에서 왕성한 필력의 저술가로 잘 알려진 전북대학교 강준만 교수의 출간 소식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걸 예로 들 수 있다.
필자 역시 연전에 어느 지방신문사의 블랙리스트가 되었다. 도교육청 내지 교육감비판 칼럼 게재 후 보낸 어떤 글도 그 신문에 실리지 못한 경험을 했다. 통상 한 달, 길어도 두 달 만에 칼럼을 실어온 터라 필자는 의아할 수밖에 없었다. 메일로 물은즉 “앞으로 실을 수 없으니 글을 보내지 말라”는 답만이 돌아왔다.
지금도 필자는 신문사의 블랙리스트에 들어있다. 10여 년간 고정적으로 칼럼을 싣던 두 군데 신문사가 어느 날 갑자기 필자의 글을 싣지 않기 시작한 것. 필자는 지금도 그 이유를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A신문에 실은 출판기념회의 5단통광고 때문이 아닌가 짐작해볼 뿐이다. 아마도 광고를 주지 않은 B신문과 C일보의 ‘괘씸죄’에 걸린게 아닌가 싶다.
유력 중앙 일간지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오랜만에 한번씩 투고한 글이 약간 편집돼 실리곤 했는데 어느 때부터 그게 없어졌다. 의아해하다가 그 신문사 오피니언팀의 모니터 위촉에 완곡한 거절 의사를 밝힌 적이 있음이 떠올랐다. 설마 그런 이유로 찍히고 블랙리스트까지 되었는가. 그런 의문이 냉큼 떠나지 않는다.
그럴망정 그게 모두 벌써 2년 전 일인데 지금까지도 게재 불가라는 ‘보복’을 당하고 있으니 너무 어이가 없다. 특히 독자로부터 “왜 요즘은 통 칼럼을 못보겠다”는 이야길 들을 때 대답하기가 난감하다. 정권교체와 도종환 장관 취임으로 정부의 블랙리스트는 없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언론사의 그런 ‘갑질’은 어떻게 해야 하나?
칼럼 원고료도 주지 못하는 등 지방신문의 열악한 재정환경을 이해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런 이유로 정기구독자이자 고정 필자를 블랙리스트 삼아 내친 것이라면 참 쪼잔한 박근혜정권과 다른게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언론사들은 과연 언론의 사명이 무엇인지, 본분은 또 어떠해야 하는지 되돌아 보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