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생각 영화 '동주'

2017.08.30 10:11:17

EBS가 지난 8월 15일 제72회광복절 특선으로 ‘동주’를 방송했다. 2016년 2월 17일 개봉한 영화이니 1년 6개월 만에 지상파 TV 전파를 탄 셈이다. 비교적 빠른 TV 방송인데, 이제서야 보게 됐으니 지각 관람이랄 수 있다.방송이 낮 12시 10분부터라 점심식사 시간과 겹치는게 부담스러웠지만, 윤동주 생각으로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길 겸 시청을 강행했다.

사실 월간 ‘한울문학’ 3년 연재를 마치고난 후론 영화감상의 날이 그만 무뎌지고 말았다. 그때그때 영화를 보지 않고 그냥 넘어가곤 해서다. 가령 6월 28일 개봉한 ‘박열’을 달포가 지나서 보는 식이다. 감상=집필이란 나름 공식을 견지하다보니 빚어지는 현상이라 할까. 쓰기 위해 영화를 보는 뭐, 그런 경우가 되고만 것이다.

‘동주’는 5억 원 규모로 만들어진 흑백영화다. 이준익 감독은 “막대한 자본을 들여 윤동주에 대한 영화를 만드는게 소박한 삶을 지향했던 고인의 삶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중앙일보, 2016.2.2.)며 저예산 흑백영화인 이유를 설명했다. 아다시피 이준익 감독은 ‘동주’ 직전 해인 2015년 총제작비 96억 원의 사극 ‘사도’를 연출, 흥행했다.

‘동주’는 민족저항시인 윤동주(1917~1945)를 주인공으로 한 최초의 영화이다. 평전이나 연구서가 여러 권 출간된 것에 비하면 일견 의아한 일이다. 이를테면, 오히려 늦은 윤동주 영화인 셈이다. 2016년 3월엔 KBS가 다큐멘터리 ‘불멸의 청년 윤동주’를 제작⋅방송한 바 있다. 그뿐이 아니다. 70주기를 맞아 윤동주에 대한 조명이 활발했는데,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 공연도 그중 하나이다.

고교에서 윤동주를 가르치던 나도 특별히 유념한 것이 있다.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나 전주공업고등학고 같은 특성화고 시험에서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답이 되도록 주관식 문제를 꼭 냈던 것. 곧바로 사회인이 되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그 정도는 교양 차원에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래서일까. 서거 70주기를 맞아 복간된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두 달 만에 5만 부가 팔렸단다. 그 열기는 영화 ‘동주’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거나 나타났다. 자그만치 117만 5143명을 극장으로 불러들였으니까. ‘동주’의 손익분기점이 27만 명쯤으로 알려졌으니 117만 5143명은 완전 대박인 수치라 할 수 있다.

‘동주’는 28세라는 짧은 생애의 윤동주(강하늘)를 객관적으로 그린다. 1943년 취조 장면으로 시작해 1935년 북간도에서의 중학생 시절을 회상하는 나라따아즈 방식이다. 경성의 연희전문 시절과 일본으로의 유학과 검거, 그리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의 취조와 죽음이 펼쳐진다. 그 중간중간에 유명한 시 ‘별헤는 밤’⋅‘서시’ 등이 낭송된다.

사실 ‘동주’는 재미와는 거리가 먼 일종의 다큐영화이다. 그런데도 전혀 지루하지 않다. 허구적 인물인 연희전문 여학생 이여진(신윤주)과의 교유나 일본에서 그를 돕는 일본인 쿠미(최희서) 이야기는 그 때문인 듯하지만, 내가 보기엔 윤동주와 상당히 대비되는 사촌 송몽규(박정민)의 삶이 영화를 지루하지 않게 한다.

그만큼 송몽규의 비중이 크게 그려졌다. 공산주의, 혁명, 상해임시정부 등 실천하는 독립운동가인 송몽규와 반대 지점의 윤동주 삶이 현란하게 대비되어 지루할 틈이 없는지도 모른다. ‘동주와 몽규’를 제목으로 해야 맞지 않을까 생각이 들 정도이다. 이때 흑백화면은 엄혹한 일제침략기를 상징하는데 안성맞춤으로 보인다.

송몽규와의 현란한 대비는 윤동주의 부끄러움을 비춘다. “그림자처럼 따라가기만 한게 부끄러워 서명 못한다”는 윤동주의 절규가 가슴을 저릿하게 하지만, ‘개죽음’을 떠올리게도 한다. 송몽규처럼 적극 나서지 못한 자신을 시를 통해 부끄러워하고 있을 뿐인데,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다니! 새삼 일본제국주의의 잔혹함이 전율을 일으킨다.

장세진 전 교사, 문학⋅방송⋅영화평론가 yeon590@dreamwiz.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