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를 앞두고 갑작스레 코로나19가 불러온 학교현장의 사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아니 되레 더 강화된 방역지침과 장기화된 원격수업으로 교사는 교사대로,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누적된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한 번도 겪어 보지 못한 초유의 상황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역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 생부터 인생의 중요한 시기인 고3 학생까지 ‘노심초사’ 이들을 대하는 모든 교사의 정신적, 신체적 피로감은 극에 달했다. 방역지침 준수를 위한 각종 업무는 기본이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 따른 출결 확인, 거리 두기 안전 급식, 긴급돌봄, 그리고 현 상황 하나하나에 대한 민원 대응까지, 이렇게 7개월이 흘렀다.
맘 카페보다 늦은 소위 ‘뒷북 공문’과 불과 1주일 등교했음에도 ‘교복 만족 실태조사’를 하라는 관성적인 공문을 보며 느꼈을 허탈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1교시만 수업해도 침과 땀에 흥건히 젖은 마스크에 더해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으로 고통스럽다. 유치원의 원격수업을 빌미로 아예 자녀를 퇴원시켜, 차라리 양육수당이라도 받겠다는 학부모의 처신에 자괴감마저 든다.
상·하위권의 학력 격차는 더 벌어졌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우리 교육시스템이 위기 상황에 얼마나 취약한지 그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그나마 학교를 셧다운하고 단순히 학사일정만 늦춘 다른 국가와 달리 이렇게라도 원격수업 등 교육이 이뤄졌던 건 오로지 우리 교사들의 역량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내 자식보다 우리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턱없이 부족한 교구와 지원 속에 개인 돈까지 써 가며 수업 영상을 만들었다. 학생부 작성과 대입전략에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학생 취업을 위해 마스크를 쓰고 백방으로 기업을 찾아다녔다. 혹자는 말한다. 지금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양대 축은 의료진과 이 땅의 교사라고. 위기 때마다 대한민국의 힘이 되어 온 교육선각자처럼 주어진 사명을 묵묵히 다하고 있는 50만 교사에게 응원을 보낸다. 힘내라 이 땅의 대한민국 교사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