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2만 청원의 외침, 교육부가 답하라

2020.12.03 16:40:31

3차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으로 학교 방역의 긴장감이 칼끝만큼이나 날카롭다. 전국 학교는 ‘방역 수능’을 전후해 사실상 대면 접촉이 차단된 상태다. 일찍이 고3 수험생의 수업은 원격으로 전환했고, 학교급과 관계없이 등교하는 교사, 학생 간의 접촉도 엄격히 제한됐다. 교사들은 서로 얼굴을 못 보는 날도 많았다. 

 

더는 좌시할 수 없다는 교원의 목소리

 

상황이 이런데도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학교 필수공익사업장 지정 등 교육 현안 해결을 요구하는 청원에 무려 12만 명의 교원이 참여했다. 이유는 분명하다. 초유의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불쑥 들이닥친 비대면(Untact) 교육의 효율성과 방역 안전을 위해서는 지금의 과밀·과대 학급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걸 실감했기 때문이다. 또 이 엄중한 시기에 학생들을 볼모로 교육공무직이 ‘돌봄 파업’, ‘급식 파업’을 강행하며 학교를 더욱 혼란의 도가니로 내몬 상황을 더는 좌시할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표출한 것이다. 


최근 한국교총과 17개 시·도교총이 △학교 필수공익사업장 지정 및 학교 비정규직 갈등 해소 △학급당 학생 수 감축 △지자체 전담 안정적 돌봄체계 구축 △무분별한 유·초·중등 교육 이양 중단 △차등 성과급제 폐지 △교원 잡무 경감을 위한 교원업무 총량제 도입 등 11대 숙원 과제 해결을 요구하는 청원을 벌였다. 이들 과제는 오로지 아이들의 학습권 보장과 직결되는 핵심 사안이자 교원들이 자긍심을 갖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게 해 달라는 한결같은 바람이다. 불과 한 달여 만에 11만 2260명의 교원이 뜻을 모았다.

 

이번 청원에는 예전과 달리 전국 각지의 선생님으로부터 많은 격려 전화가 있었다고 한다. ‘학생 수가 많아 원격수업 효과가 떨어진다’, ‘왜 학교 비정규직 파업에 학생과 교사만 피해를 봐야 하느냐’, ‘내가 가르치는 사람인지 행정 하는 사람인지 모르겠다’는 구구절절한 하소연과 함께 ‘아이들을 위해 꼭 해결해야 한다’, ‘정말 이렇게라도 우리 심정을 표출할 수 있어 다행이다’, ‘교육부에 강력히 요구해 달라’는 주문도 쇄도했다고 한다. 그만큼, 전례 없는 방역과 시행착오를 겪은 원격수업으로 누적된 피로 등 살얼음 같은 긴장감 속에서 연례화한 교육공무직의 파업이 교원들의 공분을 사 청원으로 결집했다는 게 중론이다. 

 

하루속히 세부 방안 내놓아야

 

교총은 교사들의 애끓는 외침을 국회 앞 1인 릴레이 시위와 2차례의 국회·청와대 앞 기자회견을 통해 다시 한번 국민에게 소상히 알렸다. 국회의장·정당 대표·국회의원과 청와대에 청원서를 전달하며, 청원에 담긴 염원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제 공은 넘겨졌다. 교육 당국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겪은 모두의 고통과 교육 위기감을 잘 알고 있기에 예전처럼 애써 외면하거나, 경제 논리를 내세워 소극적인 자세로 임해서는 안 된다. 학교 현장에서 원하는 건 ‘4차 교육혁명의 미래 교육’ 등 그럴듯한 언어유희가 아니라 본질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여건 개선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하루속히 세부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한국교육신문 jebo@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