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이슈1] "교과서 좀 바꿉시다"

2021.12.06 10:30:00

 

코로나19에 따른 원격수업 전격 도입, AI 등 테크놀로지의 진화로 교육계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교육 환경 변화에 따라 교과서 제도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이에 교육과정 교과서 정책 참여 및 학교 현장의 경험을 통해 느끼고 주장해 오던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1. 교사의 ‘교수’보다 학생 개인의 ‘학습’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질 것이다

지금까지 학생의 학습에 대한 관심보다는 교사의 교수활동을 개선하는 데에만 힘을 쏟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학생수 감축, 테크놀로지 발달에 따라 개인별 맞춤형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이 미래교육에서는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는 데 많은 교육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교과서 제도 전환의 방향을 논의하는 데에도 이러한 생각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감하는 문장 일부를 소개한다.

 

태초에 학교는 없었다. 그러나 학습은 있었다. 인간이 미숙하게 태어나는 대신 학습을 통해서 전승과 창조의 역량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교수는 학습을 체계적으로 안내하고 지원하기 위해서 차차 생겨난 것이다. (중략) 교사의 ‘잘 가르침’은 학생들의 ‘잘 배움’에서 최종 확인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교는 학생 한 명 한 명이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배우고 있는지에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그렇게 해야 한다고 전제하거나 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학교 교육의 실상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2. 교과서에 대한 관점을 재정립해야 한다

교과서를 ‘경전으로 보는’ 관점과 ‘교수학습 자료 중 하나로 보는’ 관점이 있다.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하나로만 교과서가 존재하여야 한다면 그렇게 많은 노력과 예산을 국가에서 쏟아 부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경전처럼 학생과 교사가 동일한 교과서를 가지고 1쪽부터 마지막까지 순서대로 빠짐없이 가르쳐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교사의 ‘교수’와 학생의 ‘학습’이 수동적인 모습을 띨 수밖에 없다.

 

두 가지 교과서관을 배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두 가지 관점을 통합하면 어떨까. 국가에서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심사하고 승인한 교과서를 가장 표준적이고 공식적인 교재로 인정하되, 이 표준적이고 공식적인 ‘교과서’로부터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가 파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가에서는 교과서를 엄격하게 심사하여 질을 관리하되, 출판사와 학교에서 이 표준적인 ‘교과서’를 활용하여 ‘디지털 자료’, ‘참고서’, ‘교수학습자료’ 등 다양한 교재를 생산,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가 관련 제도와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3. 교과서의 범위를 축소하자

교과서의 범위는 점차로 확장되고 있다. 얼핏 보면 국정을 검정으로, 검정을 인정으로 전환하고 있으니 교과서 정책이 유연해지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실제로는 e-book, 디지털교과서, 심지어 온라인콘텐츠까지 교과서의 범주에 포섭하면서 교과서의 범주는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과서와 교수학습자료의 경계도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 일반 도서와 달리 교과서는 개발・승인・유통 과정이 복잡하고 엄격하게 관리되는데, 교과서의 범위가 넓어지다 보니 교과서의 질 관리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교수학습자료의 성격을 띠는 교재(매체)까지 엄격한 제도인 ‘교과서’의 범주에 포함시키다 보니,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교사와 학생의 창의성이 위축되거나, 애써 만든 교과서가 현장에서 외면당하는 불행한 경우도 발생한다. 

 

교과서의 질 관리와 다양한 활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면 ‘교과서의 범위’를 확대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축소해야 한다. 특히 학생과 교사가 동일한 교과서를 손에 잡고 수업하다보니, 수업 전문가로서의 교사 역할이 교과서에 종속되는 폐단이 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에서 교과서의 정의를 ‘학생용’이 아니라 ‘교사용’으로 바꿀 것을 제안한다. 교과서의 범위를 어떻게 변경하면 좋을지 표로 제안해 보았다. 

 

 

4. 교과서 패러다임 전환에 맞추어 유통 및 가격 제도 바꾸자

교과서 가격은 연구・개발비, (채택부수에 따른) 발행부수, 이에 따라 산정된 쪽당 단가에 따라 결정된다. ‘교과서를 교사용으로 변경’한다면 현재의 가격제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교과서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각종 자료, 특히 디지털 자료에 활용되는 정도(횟수)를 교과서 가격에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논문의 경우 ‘피인용지수’가 높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 파생되어 만들어지는 자료의 양이 많은 교과서가 질 높은 교과서일 것이다. 잘 만들어진 서책형 교과서는 많은 학교에서 채택될 것이며, 이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하여 출판사, 교사, 때로는 학생들도 다양한 자료를 만들어 낼 것이다. 다양한 교재에 해당 교과서의 ‘피인용지수(인용・활용되는 정도)’를 교과서 가격에 반영할 수 있게 되면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고, 출판사와 저자에게도 적절한 인센티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5. 국가, 발행사, 교사, 학생의 역할을 재정립하자

교과서가 ‘교사용’이 되면 교사들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재구성해서 활용하게 되고, 교과서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교재를 만드는 생산자가 될 것이다. 학생들도 국가에서 개발하거나 승인한 교과서를 그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가르치는 교사가 만든 다양한 교재를 통해 공부하게 된다. 교사의 전문성과 학생의 학습 참여도를 동시에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육과정이 교과서 및 교육활동으로 이어지는 단계에서 국가, 발행사, 교사, 학생의 바람직한 역할 변화를 표로 정리해 보았다. 
 

이화성 서울사대부설고등학교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