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벽 칼럼] 학교에 정떨어지면 안 되는 네 가지 이유

2024.03.05 10:30:00

새 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학교에 출근하려고 하니 설렘 반 우려 반으로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설마 작년과 같은 침울한 일이 학내에 또 벌어지겠나 싶지만, 왠지 자꾸 불안합니다. 더 나빠지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스스로 마음을 다잡아 보지만, 위로는커녕 불길한 예감을 떨쳐내지는 못하겠습니다.


애써 마음을 가라앉히고 보니 담담해진 것인지 무덤덤한 것인지 잘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구분해야 합니다. 둘 다 겉으로 보기에는 똑같이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상태지만, 담담함은 현실의 괴로움을 초월한 것이고, 무덤덤은 현실을 외면하고 무시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후자는 마음이 이미 무덤에 들어가서 생기가 없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무심한 사람하고 같이 살 땐 생활이 힘들고 사활이 걸린 문제만큼 괴로운 것입니다.

 

왜 학교는 점점 정을 붙이기 힘든 곳이 되었을까요. 아예 학교에 정나미가 떨어졌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면 안 됩니다. 학교에 대한 애정이 사라진 사람이 교육자로 활동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구조적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 학교에 정이 없습니다. 그냥 기분만이 아니라 실제로 무정한 곳입니다.


우리는 교육목표가 인지적(생각) 영역, 정의적(감정) 영역, 심리·행동적(신체) 영역 등 세 가지라고 배웠지만, 막상 학교현장에서는 지덕체(인지·도덕·신체)를 내세웁니다. 그러니 교사가 배운 내용과 학교 현장이 추구하는 내용이 불일치합니다. 정의적 영역이 송두리째 빠졌습니다. 실제로 학교에 ‘정(情)’이 떨어져 나간 것입니다.


말장난이 아니라 매우 심각한 이야기입니다. ‘정’ 영역의 교육목표가 사라진 곳에 인정이 베풀어지고 사정이 헤아려지기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활발한 소통과 좋은 관계가 있을 리 만무하고, 공감력이 배양되지 않는 곳에는 자기중심적 사고와 갈등이 판을 치게 됩니다. 오늘날 우리 학교가 왜 이리도 삭막하고 야박한 곳이 돼 버렸는지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학교가 다시금 정다운 곳이 되어야 합니다. 학교에 ‘정의적 교육목표’가 복원되어야 하는 이유가 네 가지 있습니다.

 

첫째, 지덕체는 일제 잔재로 1900년대 초 우리나라에 강제 이식된 교육관이어서 청산의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본래 우리의 지적 전통에는 지덕체에 ‘정’이 추가되어 있었고, 가장 우선시했습니다. 우리는 정(情)의 핵심을 인(仁)으로 여겼고, 측은지심의 원천으로 보았습니다.

 

흔한 한자 뜻풀이에 어질 인(仁)은 두 사람을 표시한 것이라고 하니 정은 인간관계에서 중심 개념이며, 공감력이 있어야 연민을 지닐 수 있다는 정교한 사고관입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지식·이해·분석과 계산능력이 나오는 인지 영역을 강조합니다.

 

당연히 인지가 작동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만 발달하여 사사건건 시비를 가리기 위해 법리를 내세우고 권리를 주장합니다. 그 결과 학교 현장이 상당히 피폐해졌습니다. 이제 우리는 지적 전통과 현대 교육학이 강조하는 정의적 영역을 회복해서 교육의 근간을 바로 잡아야 하겠습니다.

 

둘째, 감정은 행동의 원동력이기 때문입니다. 눈·코·입·귀·피부 등 오관을 통해서 들어오는 외부 자극은 신체에 오감을 불러일으키며 두 가지 신호분자인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을 동원해서 몸을 움직입니다. 큰 근육이 움직이는 행동, 작은 근육이 움직이는 표정, 그리고 미세한 성대 근육이 움직이는 말과 억양을 조정합니다.

 

그래서 스트레스라는 부정적 자극을 받으면 분노·슬픔·우울 같은 부정적 감정이 생겨서 폭언·폭행·중독·자해 같은 부정적 행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배려와 나눔 같은 바람직한 행동은 편안함·감사함·사랑 같은 긍정적 감정 상태에서 나타납니다. 그래서 우리는 학생들이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고 올바른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야 합니다.

 

셋째, 감정은 소통방식이기 때문입니다. 표정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존재합니다. 표정·억양·몸짓은 다 움직임(motion)이며, 표출된 감정(emotion)이지요. 미간을 찌푸리고 눈에 힘이 들어가면 ‘나 지금 화났으니 건들지 마’라는 메시지이고, 처진 입꼬리가 삐죽거리고 눈에 초점이 사라지면 ‘나 지금 너무 슬프니 위로해 달라’는 메시지입니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모두가 직감적으로 알아듣는 비구어적이며 매우 위력적인 의사전달 수단입니다. SNS에 이모티콘이 넘쳐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학생들에게 문법과 글쓰기를 훈련시키듯이 비구어적 소통방식도 가르쳐야 학생들이 온전히 소통하고 공감하여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넷째, 감정을 조절하고 활용하는 능력인 정서지능이 인재의 척도이기 때문입니다. ‘IQ가 학업에서 성공을 돕지만, 직업에서 성패는 EQ에 달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바람직하게 행동하며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이 인생에서 성공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하버드대 졸업생을 90년간 추적하여 연봉, 사회적 지위, 결혼 상태, 몸 건강 상태, 생활습관, 수명 등을 상세하게 비교 분석한 그랜트 연구의 결론을 연구 책임자는 단 한 줄로 요약하였습니다. ‘인생 성공에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인간관계다.’ 여기서 가장 놀라운 사실은 인간관계가 여러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한 게 아니라 유일하게 중요하다는 결론입니다.

 

IQ, 부모의 재력, 외모 등 다른 요소들이 인생 성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합니다. 학생들이 코앞 성공에 매달리지 말고 장기전을 치르기 위해 반드시 사회·정서적 역량을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에 정서적 영역을 어떻게 회복하나요. 너무 골몰하지 마세요. 그러면 고민만 늘어날 것입니다. 그냥 실천하세요. 당장 할 수 있는 것만 해도 됩니다. 감정을 허락하고, 느끼고, 관리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우세요.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만큼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도 가르쳐야 합니다. 아무쪼록 말을 생각나는 대로 내뱉지 않고 심사숙고한 후에 해야 하듯이 감정도 느낀 대로 표출하지 않고 상황에 맞게 표현해야 합니다.


뭐 이 정도 갖고 무슨 효과가 있겠나 싶겠지요. 효과가 금방 나타나지 않는다고 실망하고 낙담하지 마세요. 정이 떨어져 나가는 데 수십 년이 걸렸으니 다시 정을 붙이는 데도 시간이 좀 필요합니다.


그러나 꾸준히 노력할 가치가 있습니다. 정떨어진 곳에서 일하는 것이 성인에게도 힘든데 사회생활을 처음 배우는 학생 입장에는 비극입니다. 만약에 학교에 온정이 없고, 애정 어린 보살핌이 없고, 다정한 대화가 없으면 학생의 마음에 열정은 식고 냉기만 가득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인생 첫 19년을 정떨어진 곳에서 보내면 한국 전체가 바로 그러한 곳이 돼버립니다. 학교가 사회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사회가 학교의 산물이기도 한 순환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국가는 학교의 기능을 돌봄으로 확대해서 아이를 도맡아 키우겠다고 합니다. 그러면 가장 먼저 학교에 정이 넘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국가는 부모를 자녀양육에서 해방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자녀양육 자체가 행복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가정에도 정이 가득해야 행복의 선순환이 시작됩니다.


아이들이 좋은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 없는 생활을 해왔다면 훗날 누가 부부지간이나 부자지간 같은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으려고 할까요. 저출산율은 돈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지요. 나라가 사라지지 않으려면 ‘전(錢)’이 아니라 ‘정(情)’이 해답임을 알아야 하겠습니다.


이번 새 학기에는 학교가 정이 넘치는 곳이 되도록 만들어야 하겠습니다. 학교가 정다운 곳이 되어야 출근할 때 우리의 발길이 가볍고 심지어 경쾌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저 멀리서 “스승님!”하고 부르는 정겨운 소리가 들릴 것입니다.

조벽 고려대학교 석좌교수/HD행복연구소 공동소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