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캐나다 북한 등 7개국 25명 다문화 학생이 어울려 글로벌 마인드를 키우고 다중언어교육으로 차별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차동초. 5학년 학생들이 미술시간에 그린 그림을 자랑하고 있다.
“한국어 배우고 중국어 가르치고” ▨ 7명은 일반, 7명은 다문화 학생으로=“아, 어젠 여기도 눈이 왔어! 이번 겨울에 내린 첫눈이야.” “啊,昨天我们这也下雪了! 是今冬下的初雪.”
12일 오후 충남 서산 차동초 5학년 교실. 한 학생이 한국어로 읽자 옆 짝꿍이 중국어로 다시 그 내용을 알려준다. 그렇게 같은 반 친구가 서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모습은 낯설지만 예뻤다. 5학년은 14명 아이들 중 4명이 중도입국학생, 3명은 한국에서 태어난 다문화 학생으로 구성된 통합학급이다. 중국에서 중도 입국한 학생들이 중국어 발음을 알려주고 3학년 때부터 영어, 중국어, 일어 등 다중언어교육을 받아 온 일반 학생들이 우리말 발음을 교정하며, 교사에게 배우는 것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서로의 언어습득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었다.
서정숙(사진) 교사는 “이전 학교에도 다문화 아이들은 있었지만 존재를 드러내는 것조차 꺼린다”면서 “우리 아이들은 나라로 편견을 갖지도, 거리낌이나 거부감도 전혀 없다”고 말했다. 친구 1명을 중국이나 태국이라는 나라 전체로 보면서 일반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 교사는 “너 중국에서 왔어? 중국은 그렇다면서? 식으로 ‘○○=중국’으로 확정짓지 않고 문화를 이해하는 눈을 스스로 터득하고 있다”면서 “아이들 마음에 진정한 글로벌화가 담기고 있는 것이 무엇보다 보람 있고 기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서산시만 봐도 3개교 중 1개교에는 다문화학생이 있고 나라도 20여개국에 달한다”며 “천안이나 안산은 공장형 이주지만 우리 학교는 전형적인 농촌형으로 결혼 특히 재혼 이주가 많다”고 설명했다. 중도입국자녀와 현지 다문화가 섞일 수밖에 없으며, 형편이 어렵고 가정문제가 복잡한 아이들이 많아 학교의 보살핌이 많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중국어를 잘 모르는 엄마에게 기분이 나쁘면 중국어를 하는 등 가끔은 부모 가슴을 아프게 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렸을 때부터 여러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라 어른스러운 면도 많아 교사들이 주는 사랑에 몇 배 이상으로 감동을 돌려주기도 한다”는 서 교사는 “대학원 전공과목을 작년부터 다문화교육과로 바꿨다”면서 “지금 가르치는 이 아이들이 우리나라에서 잘 적응하도록 하고 멋진 어른으로 성장시키는 것이야말로 제가 해야 할 일이라는 것을 아이들이 깨닫게 해 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학교수업만으로 유창하게 술술~
▨ 5학년 박현진 학생의 영어, 일어, 그리고 중국어=차동초는 전교생이 영어, 중국어, 일본어교육을 받는다. 영어는 교육과정 1시간 순증, 중국어는 창체, 일본어는 방과후에 운영함으로써 학생은 물론 교사들도 누구나 기본적 대화는 가능한 수준이다. 매학기 개최되는 다중언어 말하기대회를 통해 3개 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학생도 배출됐다.
5학년 박현진 양이 그 주인공.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가르쳐주신 대로 공부했다”고 당차게 말한 박 양에게 2010년 다문화공감학교로 지정된 이후 달라진 점이 뭐냐고 물었더니 “건물이 커졌고, 학교 버스가 생겼으며, 선생님이 많아졌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2009년 29명 복식4학급이었던 학교가 현재 81명(유치원18명, 예비학교 14명 포함하면 100여명)으로, 교사도 원어민․이중언어강사 등을 포함해 22명으로 늘었다. 공동학군제로 인한 스쿨버스 운행 등 박 양의 지적대로 차동초는 지난 3년 동안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7개국에서 온 친구들이 있고 3개 국어나 할 수 있으니 좋지 않냐”는 질문에 박 양은 이렇게 답했다. “우리 학교가 정말 좋아요. 그리고 3개 국어 아니에요. 한국어까지 4개 국어에요.”라고….
유치원-중학교 잇는 모델학교로…
▨ 김경호 교장의 미래 설계도=지난 3월 부임한 김경호(사진) 교장은 모든 교직원들이 열과 성을 다해 학교를 발전시켜온 모습에 감동받았다고 한다. 차동 학생들이 정말 행복해 보였다는 것이다. 2010년 서산교육지원청 지정 다문화교육센터, 2011년 충남도교육청 다문화거점학교(행복공감학교)를 이어갈 미래를 고민하다 2012 미래학교에 지원을 하게 됐다는 것.
김 교장(사진)은 “우리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 교육개발원의 컨설팅을 받아보고 싶었다”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방향을 잡아 주신다고 하니 정말 든든하다”고 말했다.
8개월 남짓 짧은 기간이자만 김 교장은 한서대와 MOU를 체결, 여성가족부 주관 다문화 10년 종단연구를 시작하는가 하면 공감학교 운영비지원 이후를 대비한 지역사회 후원 등 준비 작업도 챙기는 한편 다문화 단설유치원 유치, 인근 중학교와 다문화교육 통합교육과정 운영 등 다문화 모델학교 정립을 위한 초석도 하나하나 다지고 있다.
82학번. 젊은 교장이면서도 구성원들과 잘 융합해 한마음으로 학교를 이끌어가고 있는, 인터뷰 내내 궁금했던 김경호식 리더십의 원천은 마지막 멘트에서 알 수 있었다. “우리 학교는 저만 잘하면 됩니다. 교감 선생님 이하 다들 너무 열심히 하시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