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 고려한 신중한 정책 아쉬워

2009.02.20 11:29:00

지난 2월 16일 발표된 2008학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공개 후, 평가결과 조작 이 밝혀지는 등 당초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학력정보를 학생․학부모에게 제공하기 위한 평가’라고 한 교육당국에 대해 국민들의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발등에 떨어진 교육 현안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 새 학기가 시작되려는 시점에서 왜 이런 일이 일어났단 말인가?

사실 2002년부터 실시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 기초수학을 평가영역으로 하는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와 초등학교 6학년이 그 대상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실시될 때부터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었다. 리포터는 당시 상황을 세세히 기억한다. 방송이나 신문을 통하여 여러 차례 예고가 된 상태여서 평가 일을 앞두고 불안한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학원에 보냈고 학원에서는 촘촘하게 기록한 단원 요약정리 유인물을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아이들은 학원선생님들이 나누어 준 것을 들고 학교에서 외우곤 하였다. 해당학년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이 잘못되고 있음을 감지했으나 어쩔 도리가 없었다.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를 지시받은 평가결과 처리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세한 진단정보를 학생 개개인에게 통지하였고 표집학급에 대한 평가결과도 자료를 통하여 확인 하여 교육과정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등 각 단위학교에서는 평가결과를 학교실정에 따라 적이 하게 사용하였고 6년 동안 별 문제없이 잘 진행되어 왔다.

최근 문제가 된 것은 성적결과 공개이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 결과에 따른 책임을 묻겠다고 하니 이를 교사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교사들이 잠잠히 있다고 하여 그 의견에 동의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오산이다. 지금 교사들의 뇌리에는 학교현장을 떠올리며 여러 가지 생각이 교차하고 있을 것이다.

교육현실에서 평가결과 공개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일까?

현재 교실 안에는 평균 30명~ 40명의 어린이들이 있다. 모두가 가정환경, 개성, 지적, 도덕적 수준이 다르다. 3월에 어린이들을 맡으면서부터 나날이 다양한 장면이 연출되는 교실 상황에서 담임교사는 민첩하게 대처해 나가야만 한다. 리포터가 지난 한 해 동안 1학년을 담임하였는데 특히 신경을 많이 썼던 아이들을 살펴보면, 말을 거의 안하는 아이.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아이, 아토피 질환으로 공부는 안중에도 없고 한 시간 내내 다리를 피가 나도록 긁어대는 아이, 수업 중에 집중하지 못하고 몸을 계속 흔들거나 움직이는 아이, 괴성을 지르며 복도를 뛰어다니는 아이, 소변을 못 참고 수업시간 중에도 화장실을 여러 번 들락날락하는 아이, 긴장하면 변을 보는 아이, 호기심이 발동하면 교실에 들어오지 않고 학교 주변을 돌아다니는 아이 등이다.

학급경영을 하면서 느끼는 점은 교과시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위에서 언급한 아이들에 대한 생활지도이다. 참으로 어렵기가 한이 없다. 교과 지식으로만 아이들을 평가하고 그 결과로 교사를 평가하여 학교 및 지역 간에 줄을 세우는 것은 그리 급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 위에 떠 오른 부분 보다 물에 잠긴 부분이 많은 빙산처럼 수많은 날들을 인내하고 기다리며 아이들과 함께 웃고 우는 교사가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교사들은 그 누구보다도 학급에 부진아가 누구인지 잘 알고 있으며 개개인에게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아무리 교사가 잘 가르쳐도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잘 따라오지 못하는 아이들은 있는 법이다. 이제 우리 교육은 아이들과 학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한 일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한다. 시대가 많이 바뀐 것을 교사들도 인지하고 있으며 굳이 줄을 세우지 않더라도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은 내가 책임진다라고 하는 교사양심이 누구에게나 자리 잡고 있다.

교육부 수장이, "학교 발전의 모체는 평가에 있고, 평가 없이 학생들의 성취도가 향상되기 힘들며 교사들의 능력성장도 어렵다."며 “교원평가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평가결과 공개도 중요하겠지만 어린이들이 각자의 능력에 따라 적재적소에서 정직한 민주시민으로 바른 역할을 하도록 하게 하는 데 교사로서 온 힘을 기울이는 것이 더 우선되어야 하며 교육현장에 큰 파장을 몰고 올 시책 등엔 좀 더 신중을 기했으면 한다.



이은실 가능초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