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술’과 ‘깡술’

2009.04.10 16:48:00


‘강술’과 ‘깡술’은 간단한 문제다. ‘강술’이 표준어이다. 따라서 ‘깡술’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도 신문 등에 ‘깡술’이라는 표현이 보인다.

○ 살찔까 두려워 안주 없이 깡술만 마시면 어떻게 될까. 생각대로 살은 빠진다. 하지만 이는 근육 량이 줄어드는 것일 뿐 오히려 내장과 근육엔 지방이 더 쌓인다.○ ‘얼마 전부터 여자 친구와 다이어트를 시작했다.’는 그는 3시간이 넘도록 계속 깡술만 들이켰다.
○ 매일 습관적으로 마시는 사람 중에서 소위 깡술을 마시는 사람이 알코올성 정신병에 걸릴 확률이 제일 높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깡술’은 ‘강술’이 바른 표기다. ‘강술’은 ‘안주 없이 마시는 술.’이다(오늘도 김 씨는 빈속에 강술을 마셔 대고 있었다.).

‘강술’을 ‘깡술’이라고 한데는 이유가 있다. 우선 우리말 ‘깡’과 관련이 있다. ‘깡’은 ‘악착같이 버티어 나가는 오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깡다구’라고도 한다(깡으로 버티다./한국인의 자긍심은 그에 비례해 커졌다. 하지만 여전히 몸 하나 가지고 악으로 깡으로 세계와 맞서는 이미지였다.) 언중이 이 ‘깡’에 ‘술’을 합성해서 사용하면서 혼동을 초래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 하나는 발음을 잘못한 것이 표기로 굳어진 예라고 볼 수 있다. 세상살이가 거칠어지면서 사람들의 말씨도 거칠어진다. 그래서 우리의 언어 현상에 쓸데없는 된소리가 늘어난다. 그 예가 효과(效果)를 [효꽈], 창고(倉庫)를 [창꼬], 창구(窓口)를 [창꾸], 고가도로를 [고까도로], 소주를 [쏘주], 새 차를 [쌔 차], 세련되다를 [쎄련되다]로 발음한다. 마찬가지로 ‘강술’을 ‘깡술’을 발음하고 표기도 그렇게 한 것이라고 추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추측은 모두 추측일 뿐이다.

‘강술’의 ‘강-’은 접사다. 이는
1. (몇몇 명사 앞에 붙어)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강굴(물이나 그 밖의 다른 어떤 것도 섞지 아니한 굴의 살.)/강술/강참숯(다른 나무의 숯이 조금도 섞이지 않은 참숯.)/강풀(물에 개지 않은 된풀.)2. (몇몇 명사 앞에 붙어) ‘마른’ 또는 ‘물기가 없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강기침(‘마른기침’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강모(가물 때 마른논에 억지로 호미나 꼬챙이 따위로 땅을 파서 심는 모. 호미모, 꼬창모 따위가 있다.)/강서리(늦가을에 내리는 된서리.) 3. (몇몇 명사 앞에 붙어) ‘억지스러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강울음(억지로 우는 울음.)/강호령(까닭 없이 꾸짖는 호령.)4. (몇몇 명사, 형용사 앞에 붙어)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강더위(오랫동안 비가 오지 아니하고 볕만 내리쬐는 심한 더위.)/강추위(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강마르다(살이 없이 몹시 수척하다.)/강밭다(몹시 야박하고 인색하다.)

등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는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그리 많이 쓰이지 않는 것도 현실이다.

참고로 ‘강더위’는 ‘무더위’와 다르다. ‘무더위’는 ‘습도와 온도가 매우 높아 찌는 듯 견디기 어려운 더위.’를 말한다.(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다./장마가 끝나고 나자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었다./8월 말이 되자 무더위가 한풀 꺾였다./연일 30℃를 넘는 무더위가 계속되었다./한차례 소나기로 무더위가 식었다.) 몹시 심한 더위는 ‘혹서(酷暑)’라고도 한다. ‘극서(劇暑)’, ‘맹서(猛暑)’도 같은 뜻이다. 반면 매우 심한 추위를 표현할 때는 ‘맹추위’라고 한다. ‘혹한(酷寒)’도 많이 쓰는 표현이다.

‘강추위’도 정확한 의미를 알고 써야 한다. ‘강추위’는 앞에서 본 것처럼,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이른다. 다시 말해서 눈이 오고 바람이 불면 ‘강추위’라고 표현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언론 매체에서조차

○ 대관령 지역이 최고 1미터의 적설량을 기록한 가운데 내일부터 우리나라 전 지역에 눈을 동반한 강추위가 몰아닥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서울 지역에는 순간 최대 풍속 3미터의 강풍을 동반한 강추위가 예상됩니다.
○ 영동과 호남 지방에는 눈이 오는 등 전국적으로 강추위가 예상됩니다.
○ 영남지역 폭설 동반 강추위 지속될 듯.

라며 눈이 오고 바람이 부는 상황을 ‘강추위’라고 말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탓인지 결국 국립국어연구원은 ‘표준국어대사전’을 발간하면서 ‘강(强)추위’를 표제어로 올리고, 이에 대해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고 풀이를 달아놓았다. 어휘 확장으로 우리말이 풍부해졌으니, 탓할 일은 없다. 하지만 하루아침에 없던 말이 생겨서 혼란스럽다. 어쨌거나 이제는 눈이 오고 바람에 불어도 ‘강추위’라고 말해도 틀렸다고 할 수가 없다. 단, 염두에 둘 것은 이때 ‘강-’은 순우리말 접두어가 아니라 한자어 접두어 ‘강(强)’이라는 사실이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