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감당’과 ‘뒷갈망’

2009.04.24 15:31:00


‘뒷감당’과 ‘뒷갈망’은 둘 다 표준어이다. 이는 표준어 규정에서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 참여정부 통 큰 살림 누가 뒷감당하나.
○ 무차별 폭로 뒷감당은 어떻게 할 건가.
○ 뒷감당도 못하면서 일만 벌인다.
○ 엉겁결에 부반장을 들먹이고 나오긴 했으나 그 뒷감당은 아무래도 자신이 없는 모양이었다.(윤흥길, ‘완장’)
○ 그래도 할 수 있는 노력이라면 뒷갈망이야 어찌하든 양수기부터 세내어 져다 놓고 물이 된비알을 기어오르도록 힘껏 해 볼 셈이었다.(이문구, ‘우리 동네’)
○ 이왕 그렇게 되었으니 사태를 뒷갈망할 도리부터 찾자.
○ 어찌 돈뿐이겠습니까. 그 뒷갈망에 드는 노력은 얼마이며, 그 때문에 일껏 쌓아올렸던 소비자의 신뢰가 무너짐은 감히 돈으로 따지고 들 수도 없는 치명적인 손실입니다.

‘뒷감당’은 ‘일의 뒤끝을 맡아서 처리함’이라는 뜻이다. ‘뒷갈망’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으며, ‘뒷담당’도 동의어이다.
여기서 ‘뒷감당’과 ‘뒷담당’은 ‘감당(勘當)’과 ‘담당(擔當)’이라는 한자어와 결합한 단어이다. 그러나 ‘뒷갈망’은 ‘갈망’이라는 순우리말이 결합된 단어이다.
‘갈망’은 ‘어떤 일을 감당하여 수습하고 처리함’이라는 뜻이다(영어를 한답시고 혓바닥을 제대로 꼬부랑거리면 사회에 나가서도 제 한 몸 갈망을 해낼 수 있지 않겠느냐 하는 엉뚱한 배짱도 키워 가지고 있었다. - 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이와 비슷한 단어로 ‘갈무리’가 있다.
‘갈망’이 들어간 말에는 ‘뒷갈망’ 이외에 ‘끝갈망’, ‘말갈망’, ‘앞갈망’이 있다.

‘끝갈망’은 일의 뒤끝을 마무리하는 일.
- 재모는 끝갈망이 두려워서 그만 못 이기는 체했다.(김정한, ‘낙일홍’)
‘말갈망’은 자기가 한 말을 뒷수습.
- 성질 나는 대로 막말을 해 놓고 말갈망도 못한다.
‘앞갈망’은 자기에게 생기는 일을 감당하여 처리함. ‘앞갈무리’와 동의어이다.
- 그 아이는 겨우 앞갈망이나 하는 정도이다./세상이야 어떻게 돌아가든지 자기 앞갈망은 분명히 하고 또 그런 나름의 청결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복수 표준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 규정 제26항). 이는 규정은 표준어의 선택을 폭넓게 하고, 우리말의 어휘력을 풍부하게 것이다. 복수 표준어는 ‘가락엿/가래엿, 가뭄/가 물, 감감무소식/감감소식, 고깃간/푸줏간, 넝쿨/덩굴, 돼지감자/뚱딴지, 딴전/딴청, -뜨리다/-트리다, 말동무/말벗, 벌레/버러지, 부침개질/부침질/지짐질, 시늉 말/흉내말, 어저께/어제, 옥수수/강냉이, 우레/천둥, 중신/중매, 혼자되다/홀로되다’ 등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표준어 규정 제16항은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표준어로 삼았다. ‘노을/놀, 막대기/막대, 외우다/외다, 찌꺼기/찌끼’ 등이 그 예인데, 이도 결국은 복수 표준어라 할 수 있다.

최근 권재일 국립국어원장이 취임하면서 표준어 규정의 엄격함 때문에 좋은 뜻을 가진 우리말이 사라지는데 우려를 표하며 ‘복수 표준어’ 검토 의사를 밝혔다. 경직된 표준어 규정이 자칫 좋은 뜻을 가진 우리말을 소멸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복수 표준어’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이는 표준어 기능 조정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즉 방언의 중요성 때문에 표준어를 무시해서도 안 되고, 방언이 표준어에 의해 소멸해서도 안 된다는 의미도 된다. 권 원장의 뜻은 언어 현실을 규정에 즉각 반영하고, 우리말을 풍부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대할 만하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