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에 울려 퍼진 '봄의 소리'

2012.04.26 20:08:00

봄은 남쪽으로부터 올라온다. 개나리 벚꽃이 피기 시작하였고 새하얀 목련이 우아하게 꽃봉오리를 터트리는데도 찬바람이 불고 아침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며 봄이 더디 오고 있다. 윤삼월이 있는 해라 봄을 제대로 느껴볼지 걱정이 앞선다. 봄은 꽃에서 느끼지만 소리로 들으면 더욱 실감이 난다.

사월 중순에 접어든 12일 저녁에 또 다른 봄의 소리를 듣기 위해 아내와 함께 충주문화회관으로 향했다. 입구에서 팸플릿을 받고 나니 따뜻한 차도 제공해주었다. 충주는 탄금대에서 우륵이 가야금을 탄주하였다고 하는 국악의 고장이다. 반세기가 흐른 제50회 충주시립우륵국악단 정기연주회가 열렸는데 주제가 『봄의 소리』였다. 시기에 적절한 주제를 선택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는 충주 MBC 이 현정 아나운서가 맡아 진행이 순조로웠다. 첫 순서로 궁중음악 “수제천”이 장엄하게 울려 퍼졌다. “수제천”은 한국궁중음악의 대표로 흔히 아악(雅樂)의 백미라고 일컫는다. 이 종배 충주시장의 인사말도 있었다. 국악 관현악곡인 정동희 작곡의 “월광”이 연주되었다. 배경화면에는 둥근 보름달이 떠있어 잘 어울렸다. 이관용의 시 ‘표정 없는 달’을 소재로 달그림자와 달빛의 소박하고 그윽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으로 김진미 무용가의 단아하고 화려한 무용이 함께 선보여 조화를 이루었다.

세 번째는 해금과 25현가야금을 위한 이중협주곡 ‘상생(相生) 초연곡으로 지휘자인 조원행이 작곡하였다. 음양의 조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이상(理想)을 꿈꾸고 경이롭고 거대한 자연의 신비를 주제로 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25현가야금은 이슬기, 해금은 여수연이 연주를 맡아서 많은 박수를 받았다.

네 번째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 법한 국악 관현악과 벨리댄스가 만나 “봄의 환희”라는 주제로 흥겨운 시간을 펼쳤다. 이슬람문화권의 여성들이 추는 전통춤인데 허리를 비틀거나 흔드는 동작이 특징인 춤으로 (사)한국생활댄스협회회원이 출연하여 국악과 하모니를 이루며 관중의 박수를 받았다.

다섯 번째는 국악과 탭댄스가 만나 빠른 박자에 맞춰 관중도 함께 박수를 치며 흥겹게 어울렸다. 김사랑과 박용갑 두 사람의 현란한 발동작과 유연한 몸짓에 맞춰 박수를 치며 환호와 함께 즐거움을 배가(倍加) 시켰다.

여섯 번째는 뮤지컬배우 이연경이 나와 “맘마미아, 댄싱 퀸, 나가거든”을 국악의 반주에 맞춰 열창을 하였다. 수년전에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딸들과 함께 뮤지컬 ‘맘마미아’를 본적이 있는데 충주에서 국악반주로 다시 들으니 새로운 맛으로 다가왔다.

일곱 번째는 소리꾼 김용우가 국악가요 “양류가, 천안도 삼거리, 복조리 타령”을 불렀다. 이 소리는 국악과는 너무 잘 어울렸고 복장도 특이하게 하고 익살스러운 말로 관중과 어울려 노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았다. 아쉬워하는 청중이 앙코르를 신청하니 국악과 충주의 자랑인 택견시범이 어울려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된 자부심을 느끼며 많은 박수를 보냈다.

이번 연주회는 우륵국악단의 연습곡을 연주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다양한 장르와 접목을 하며 소리의 조화를 창출해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고전과 현대의 만남이 이렇게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고 딱딱한 연주를 조용히 앉아서 감상하는 종전의 연주회가 아니었다. 다양한 출연자와 청중이 함께 노래하고 박수치며 어울리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오래도록 추억으로 남을 성공적인 연주회였다. 자연에서 느끼는 봄의 소리도 아름답지만 전통악기와 관중이 어울리면서 나오는 봄의 소리도 너무 아름답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내년에 충주 탄금 호에서 개최되는 세계조정선수권대회에 우륵국악단을 널리 알렸으면 하는 생각이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