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서 변화되어야 할 것들 3

2018.01.12 15:08:33

누가 이 아이의 생각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교사 역할의 핵심은 '학생의 생각'을 다루는 일


 사람은 누구나 각자 살아가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생각하는 틀'이 있다. 이것은 어려서부터 부모로부터 물려 받은 것을 바탕으로 주변의 친구들과 학교생활을 통하여 보고 듣고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힌 것들이다. 별도 도움이 되지 않은 것들은 쉽게 지워지기 어렵다. 이처럼 사람이 갖는 생각이 사람을 만들고 있기에 사람이 바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 교육이다.


필자는 최근 초, 중학교에서 자기주도적인 삶을 학생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학습코칭을 지도하고 있다. 어느 날, 중학교 1학년의 한 교실에서 학습코칭 수업을 마치고 수업 소감을 받았다. 질문 항목에는 '10년 후, 20년 후 나의 예상하는 모습'을 기록하는 난이 들어 있다. 매일 학교에서 학습을 하면서 미래의 자신의 이미지를 그리면서 날마다 살아가는데 힘이 되는 것이 바로 나의 미래 모습이다. 그런데 이 기록물을 보니 가관이다. 설마? 장난으로 쓴 글씨체는 아닌 것 같은데도.. 어찌 이런 아이들이 한 둘이겠는가? 그래서 최근 학교를 떠나겠다는 선생님들이 늘어나는 이유를 조금이라도 알 것 같다.


"나는 미래를 보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10년, 20년 후를 알지 못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미래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이딴 질문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미래를 모르는 사람에게 이런 질문을 하는 건 바보 같은 짓이다."


미래는 보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 누가 미래를 볼 수 있는가! 자신이 희망하는 밝은 미래를 상상하면서 오늘 하루 수업을 한다면 힘들지 않을 수 있는 묘한 힘을 가진 것이 미래의 자신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가진 학생에게 다른 선생님들의 지도가 받아들여 질 여유가 보이지 않는다. 소위 선생님들과 불통이다. 이런 생각의 틀에 바른 인성을 강조하고, 목표를 지향하면서 학습태도를 바르게 하라고 강조한들 먹힐 가망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된다.




학교가 바뀌어야 아이가 바로 성장할 수 있다. 학교는 건물이 아니다. 아이들의 생각을 다루는 선생님들의 생각이 학교 교육의 핵심이다.


문제는 학생 자신이 질문을 바로 알지 못하는 점이요, 부정적인 생각 투성이인 상태에서 어떻게 학습이 진행될 것인가를 생각하여 본다. 이같이 긍정성을 찾기 어려운 아이, 인문학적 성찰이 필요한 아이에게 친밀하게 다가갈 수 있는 상담자가 되어 주거나 독서는 좋은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자기주도학습법을 가르쳐 주었더니 '이제 공부 맛을 알겠다. 학원을 끊고 스스로 하겠다. 공부에 자신이 생겼다'는 등,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이런 경험 속에서 느끼는 것은 교사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아이들이 꿈으로 가는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하며, 지속적으로 성장 동기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하여 관리자와 대화하면서 학교 교육력을 살리는 선생님을 보고 싶다. 내가 만난 뒷걸음질 치는 이 학생의 학교 생활이 앞으로 무엇을 만들어 갈 것인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