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학교의 학업성취도 공개가 예정된 가운데, 갈수록 찬,반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이 분명히 있을 것이고, 부정적 측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길게 보면 학교의 학업성취도 공개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을 한다. 앞으로 학업성취도공개가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긍정적 측면을 최대한 살리는 쪽으로 갔으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어차피 공개될 것이라면 긍정적인 측면을 살리는 쪽으로 가야하기 때문이다.
학교서열화 문제등은 본격적인 공개를 앞두고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다. 이번에 공개하도록 정한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공개를 서슴치 않는 학교가 나타나서는 안된다. 학교교육 때문에 성취도가 높게 나왔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사교육열풍 때문에 성적이 더 높게 나오지 않을까라는 우려때문이다.
어쨌든 이번의 학업성취도공개로 인해 사교육의 욕구는 갈수록 커질 것이고, 학교는 학업성취도 공개의 부담에서 헤쳐나올 방법이 묘연한 상태다. 모든 학교의 여건이 다름에도 일방적공개로 학교는 더욱더 곤혹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헤쳐 나가기 위해서 각급학교에서는 묘안을 짜내야 한다. 묘안이라는 것이 결국은 어떻게 하면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느냐는 것인데, 성적을 부풀리더라도 결과를 좋게 만들어 내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교육 본래의 취지를 한참이나 벗어나는 행위를 해야 할지도 모른다.
즉 성적이 아주 안좋은 학생들은 억지로라도 시험에 불참하도록 유도하거나 학업성취도 시험을 앞두고 문제풀이식 강의를 해야 할 수도 있다. 물론 실제로 이런일들이 벌어지면 안되겠지만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경쟁을 유도하여 학업성취도를 끌어올린다는 발상 자체는 긍정적 측면이 높지만, 학생들을 경쟁시켜야 학업성취도가 올라가는데, 학교를 결쟁시킨다는 것이 다소 의아스럽다. 학교가 경쟁을 하고 싶어도 학생들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경쟁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경쟁유발의 문제점이라는 생각이다.
사실 학업성취도평가결과를 공개함으로써 경쟁을 시켜서 학력신장을 꾀한다는 목적이 설득력을 얻는다고 해도 이번의 특례법에서 너무나 어이없는 부분이 들어가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성취도 평가를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은데, 당장 내년부터 중,고교는 매년 두 차례 학년별 기말고사 평균 성적도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말고사평균성적을 공개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는 생각이다. 학생들의 성적분포는 성적표를 보거나 학부모서비스를 신청하면 학부모는 모두 다 알수 있는 부분이다. 굳이 공개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공개의 필요성에 공감하기 어려운 것은, 학교별로 수행평가반영비율이나 평가방법이 많이 다르고, 각 시,도교육청별로 평가방법 역시 다르다. 이것은 어떤 방법을 동원해도 학교별 차이를 찾아낼 수 없다. 더우기 학업성취도 평가는 똑같은 문제를 가지고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시험에 참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학교별 시험은 해당학교의 교사들이 직접 출제해서 시험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별 공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학부모와 학생들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성적표를 통해서 자세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개할 필요가 없다.
고등학교의 내신성적이 절대평가로 이루어지면서 학교별로 성적부풀리기가 성행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난이도를 낮추면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평가방법을 개선했던 것이다. 그런데 또다시 학교별 기말시험의 결과를 공개하도록 하면 그 결과가 학교간 비교자료로 둔갑할 것이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변별력없는 시험문제를 출제하여 성적을 부풀릴 수 밖에 없다. 학교별로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는 것은 뒷전이고 공개된 성적을 접하는 학부모들은 무조건 평균성적이 높으면 좋은 학교로 오인할수 있는 것이다.
학업성취도평가를 공개하는 것도 큰 문제이지만 학교별로 실시되는 기말고사의 성적을 공개한다는 것은 더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문제점도 문제점이지만 기말고사의 성적을 공개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즉 공개의 의미가 없는 것이다. 도리어 학교교사들의 평가권을 모조리 빼앗아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아무리 교사들이 좋은 문제를 가지고 있어도 학생들의 성적공개를 염두에 두다보면 그보다 훨씬 더 쉬운 문제를 출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무런 의미없는 학교별 기말고사 성적공개는 당장에 백지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