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육청이 청렴도 꼴찌라는 불명예를 씻기위해, 학부모가 학교나 교육청의 위법, 부패 행위에 대해 감사를 청구할 수 있는 ‘학부모 감사 청구제’를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었다. 이에따라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08년 부패방지 추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했다.
그동안 청렴도 꼴찌를 하면서 계속해서 일선학교에 대한 비리엄단책을 마련했었다. 이러한 시교육청의 일선학교에 대한 조치에 교원들은 의아함을 감추지 못했었다. 일선학교에서 발생하는 비리가 정말로 그렇게 많으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학교보다는 교육청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더 많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학교에서의 비리를 뿌리뽑기위해 암행감시단을 보내 학부모에게 촌지나 선물등을 제공받는 행위 근절에 나서기도 했었다. 여기에 서울시교육청소속 공무원들의 행동강령도 만들어 일선학교에 내려보냈었다. 주로 촛점이 맞추어진 것은 당연히 일선학교였다. 그 중심에는 교사들이 학부모들로부터 금품을 수수한다는 막연한 생각이 한몫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거나 저러거나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촌지등의 금품수수가 거의 사라졌다고 생각하면서 지내왔다.
그런데, 최근에 서울시교육청 고위간부를 포함한 40여명의 직원들이 모 가구업체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제공받은 혐의로 경찰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뒤늦게 확인되면서 시교육청이 비리의혹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이 소식을 접한 교원들은 시교육청이 일선학교 단속에는 성공했지만, 시교육청 내부단속에는 실패한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모든 잘못이 일선학교 교원들에게 있는 것처럼 단속을 꾸준히 해왔던 시교육청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내부직원의 단속에 실패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조사결과가 확실하게 나온것은 아니지만 석연치 않은 부분들이 있기에 의혹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사건은 경기경찰이 관내 모 가구업체 대표 L씨와 P씨를 내사하던 중 금품거래 내역이 담긴 P씨의 수첩을 확보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며, 수첩에는 수 십 만원에서 수 백 만원의 금품제공 사실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L씨와 P씨는 모두 특정지역 출신으로 서울시교육청의 특정지역 인맥과 친분을 유지하며, 사업을 확장해 온 인물로 알려졌다. 특히 P씨는 지난 2006년 서울 모 지역교육청 관리국장(서기관)을 끝으로 정년퇴직 한 뒤 L씨와 함께 일을 하다 최근 독립한 것으로 전해졌다(한국교육신문 인터넷판, 2008.9.20).
비리를 뿌리뽑아서 청렴도를 높이고자 하는 서울시 교육청의 노력을 탓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이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쳐서는 안되고, 예외가 있어서도 안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학교의 교사들을 탓하면서 시교육청이 앞장서서 촌지문제를 다룰 때는 솔직히 섭섭한 마음이 없지 않았다. 언론에서 촌지문제를 들고 나올때마다 모든 교원들을 같은 집단으로 몰아가는 것에 화가 많이 났었는데, 시교육청에서 언론사와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암행감사를 통해 적발하려는 방침 자체가 너무나 슬픈 현실이었던 것이다.
이제는 교사들만 탓하면서 일선학교 중심으로 청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만 하지말고 교육청 자체의 청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도 하라는 것을 주문하고 싶다. 교사들만 탓하지 말고 서울교육의 여러 정책을 추진하는 시교육청에서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내탓 네탓이 있을 수 없지만 교원들이 느끼기에는 학교탓만 하는 것으로 받아들였기에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변화하는 서울시교육청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