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만에 내놓은 대책, 책임전가가 최선인가?

2009.02.18 08:39:00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결과가 공개된지 하룻만에 서울, 인천등 일부교육청에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이들 교육청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저조한 결과가 나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아무리 급해도 하룻만에 나오는 대책이 과연 제대로 된 대책인지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그것도 저조한 결과를 교장, 교감탓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좋은학교자원학교와 교육복지투자우선학교를 선정하여 교사들에게 승진가산점까지 부여하거나 부여할 예정으로 있는 서울시교육청이 저조한 결과를 가져온 것을 교장, 교감탓으로 돌리는 것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결과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그 결과에 대한 면밀한 분석작업이 우선이다. 문제가 발생하면 그 문제에 대한 발생원인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교장, 교감을 지목하여 문제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발상 자체가 과연 옳은 것인가. 생각해 볼 문제이다. 당초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해서 일선학교는 물론 학생과 학부모도 크게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았었다. 매년 기본적으로 네번의 정규고사를 실시하는 일선학교 입장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제대로 대비할 수 없었다. 갑작스런 실시는 아니었지만 크게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았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조를 할 것이다. 그 결과가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이야기이다.

그런 결과를 두고 학생들의 학력저하문제를 교장, 교감에게 돌리는 것은 결국 모든 책임을 학교에 떠넘기는 것과 다를바 없다. 교사들도 할말은 있다. 왜 서울의 강남지역이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는가. 그 지역에만 유독 훌륭한 교원들이 몰려있기 때문일까. 교원들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서는 교육여건의 차이가 확실히 작용한 것이다. 서울의 남부지역이 저저한 결과가 나온것에도 서울의 교사들이라면 당연히 수긍할 것이다. 이런 일련의 여건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학교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앞서야 했다.

학업성취도평가의 목적은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력격차 해소 및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교육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평가결과, 일정수준에 이하의 학생들, 즉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파악하고 그 비율을 줄여서 궁극적으로는 학력격차를 해소하자는 것이 목표인 것이다. 그렇지만 이번의 일부교육청의 발빠른 조치는 결국 학교간 치열한 경쟁을 조장하여 정상적인 학교교육활동을 어렵게 할 뿐이다.

교장, 교감은 물론 일선학교 교사들에게 책임을 묻는다면,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 정규수업을 중단하고 문제풀이 등을 실시할 수 밖에 없다. 예전의 중학교 모의고사때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방과후 학교가 원하는 학생이나 그렇지 않은 학생 모두가 참여해야 할 형편이다. 예전의 보충수업을 답습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점수올리기 경쟁이 치열해 진다면 결국은 정상적인 교육보다는 점수를 올리기 위한 교육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교장, 교감만의 노력을 모든 것이 해결될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교장, 교감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공부잘하는 우수한 학생들이 많기를 기대하고 그렇게 노력하고 있다. 그런 교장,교감들에게 압박을 가해서 문제가 해결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결과는 더욱더 큰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단숨에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하지말고 문제에 대한 면밀한 분석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포장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와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의 속력을 비교하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는가. 교육여건의 개선과 시스템의 개선만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