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교육계에서는 사교육문제 해소를 위한 대학입시의 대안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주요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의 도입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거나 이미 도입 입장을 발표했다. 그동안 성적위주의 획일적인 신입생선발에서 일대 변혁을 일으킬 수 있는 방안이 입학사정관제 도입이기에 학부모들의 관심과 기대가 높은반면, 이에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새로운 제도의 도입이 가져올 파장이 어떻게 확산될지 국민적인 관심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것은 수년전의 일이다. 참여정부 초기에 대통령 자문기구였던 교육혁신위원회에서 당시에 미국에서 활발히 실시되던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검토했었다. 최종적으로는 선택이 되지 못하고 보류하기에 이르렀지만 당시에도 사교육을 잠재울 수 있는 방안으로 혁신위원들로부터 상당한 관심과 지지를 얻었었다. 특히 대학교수는 물론 일선학교교원 출신의 혁신위원들이 많은 지지를 보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런데 당시에도 가장 큰 이슈로 등장했던 것이 객관성과 신뢰성의 문제였다. 당시에는 각종 경시대회가 입학사정관제의 객관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계속해서 경시대회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입학사정관제의 보류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그런 객관성의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도입되는 제도이기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물론 대학마다 나름대로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겠지만 객관성과 공정성은 계속해서 문제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경우, 입학사정관제가 활성화되어 있는데, 현재 우리가 실시하고자 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해당학생의 성장과정부터 계속해서 관찰이 되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입학 후 곧바로 대학에 원서를 제출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때부터 입학사정관들이 해당학생의 학교생활부터 모든 활동을 기록하고 객관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다. 즉 최종 졸업학년도에만 매달리는 것이 아니고, 미리 원서를 받은 후에 그 학생의 성장과정을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합격 여 부를 판단한다고 한다.
객관성 확보의 문제가 상당히 해소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다만 미리 원서를 접수해 놓은 상태에서 학생 개개인의 생활이 모두 노출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더라도 객관성이 확보된다면 입시 이후에도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가 자리가 잡힌다면 그토록 문제가 심각한 사교육비 해소에도 어느정도는 기여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입학사정관제 도입은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상황이 많이 다른 것처럼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학생선발에서도 독특한 우리나라만의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오래전부터 검토되었던 방안이 이제서야 실시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동안 이 방안에 대한 논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지 못하여 갑작스런 도입으로 오인하는 것은 더 큰 문제인 것이다. 충분한 시간이 있었음에도 특별한 방안없이 도입될 우려가 있기에 염려스러운 것이다. 충분한 인력확보와 예견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검토하여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성공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