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의 피해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2009.04.09 08:59:00

3월초에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던 학업성취도평가 점검, 말이 좋아 점검이지 서울에서는 '실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채점을 제대로 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었지만 실사라는 표현을 썼다. 조금더 강한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어쩌면 그렇게 표현함으로써 제대로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생각이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어쨌든 그렇게 점검을 마쳤지만 이 점검의 후폭풍이 또 염려스럽다. 일부학교에서 답안지를 폐기처분했기 때문이다. 분실했다는 이야기도 언론에 등장했지만 분실보다는 폐기처분한 것이 맞을 것이다.

문제는 점검을 통해 허위로 성적을 보고한 것을 바로잡겠다는 것이었는데 그 점검 때문에 이미 답안지를 폐기한 경우이다. 언론보도에서는 학교의 무책임으로 모든 것을 돌리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정확하지는 않지만 학업성취도평가 메뉴얼에는 답안지 보관기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물론 일선학교에서 어련히 알아서 보관할 것으로 생각해서였겠지만 일선학교에서는 학교에서 실시하는 시험과 달리 성적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채점이 끝나고 바로 폐기 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누구든지 시험을 실시하던 당시에는 현재처럼 학업성취도평가 문제가 크거 부각되리라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별다른 의미없이 답안지를 폐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언론에 이런 사실이 보도되면서 그로인해 또다시 학교에 책임을 묻는 일이 반복되지 않을까 우려스러운 것이다. 학교는 상급교육행정기관인 각 시 도교육청이나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시를 따른다. 시험관련 하여 답안지를 언제까지 보관하라는 내용이 정확하지 않았다면 어떤 학교든지 답안지를 주관적인 판단으로 폐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번의 문제를 두고 또다시 문제를 만드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학교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고의성이 없다면 더이상 문제를 확산시키지 않아야 한다. 3월 말일에 실시되었던 교과학습진단평가의 답안지는 모든 학교에서 보관을 하고 있을 것이다. 서울의 경우 2010년까지 보관하도록 각 학교에 알렸다. 따라서 진단평가 답안지는 조기 폐기할 우려가 없다. 학업성취도평가의 답안보관의 중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 점은 일선학교의 책임이긴 하지만 그 상황에서 답안지를 보관해야 한다는 의식을 갖는 것은 전적으로 학교의 몫이었다.

결국 잘 해보자는 뜻에서 출발한 학업성취도평가의 점검이 또다른 후폭풍으로 연결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답안지의 조기폐기가 고의성이 있는지는 그 진 위를 가려야 하겠지만 선의의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현명한 판단을 하길 바랄 뿐이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