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C라는 세계야구대회가 있었다. 불과 2개월 전이었다. 모든 국민이 흥분했었다. 전 국민의 희망이었기 때문이다. 세계2위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다음대회에서는 우승도 가능하다는 희망적인 이야기들이 흘러나왔다. 이에 때를 맞추어 국내최초의 돔구장건설 발표가 있었다. 대회는 끝났지만 흥분과 기대는 계속 이어지게 되었다. 다음대회의 우승을 위해서는 여건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제2의 돔구장 건설계획도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자치단체에서 팔을 걷어올린 것이다.
앞으로 세계대회에서 대한민국의 야구는 강자로 군림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시작된 것이다. 그동안의 어려움을 털고 제대로 된 경기장에서 세계의 강팀들과 당당히 맞설 수 있게 되었다. 더없이 기쁘고 희망적이다. 여건조성이 되었으니, 이제는 선수들의 기량향상만 이루어진다면 모든 것은 현실로 나타날 것이다. 기대가 크다. 조금만 비가 내려도 경기를 할 수 없었던 일들은 과거로 묻히게 될 것이다. 언제든지 훈련과 경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2002년 한국축구의 월드컵 4강신화를 기억할 것이다. 월드컵이 끝나고 우리는 다같이 이런 생각을 했었다. '앞으로 한국축구가 최소한 아시아권에서는 그 누구도 따라올 팀이 없다. 이제는 세계무대에서도 통하는 전력을 갖추게 되었다.' 희망적인 메시지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그런데 그 이후 한국축구가 눈부시게 발전했는가. 아마도 '아이올시다.'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한국축구는 지금도 아시아에서 월드컵예선을 통과하기 위해 한치앞도 내다볼 수 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다름아닌 과감한 투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월드컵 열기가 한창일때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었다. 그러나 대회가 끝나고 서서히 월드컵 4강신화는 사려져 갔다. 사람들에게는 먼 옛날의 이야기가 된지 이미 오래이다. 월드컵대회를 치르면서 건설된 경기장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월드컵을 개최할 정도의 경기장이니, 축구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하드웨어 외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투자가 월드컵 이전보다 줄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이야기이다. 더 많은 투자를 했다면 계속해서 세계무대에 내놓아도 부족함이 없는 팀으로 군림했을 것이다.
우리교육도 마찬가지이다. 과감한 투자없이 교육발전을 외치고 공교육활성화를 외치는 것이 이상하다. 야구가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 벌써부터 실질적인 투자에 나선것과 교육은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육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함에도 교육세폐지 등을 들고 나오고, 여기에 공교육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교원평가제 도입등을 들고 나왔다. 매일같이 여건개선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예산부족으로 손을 놓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돈안드는 정책만 쏟아놓다 보니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고, 때로는 무리수를 두고 있는 것이다.
수준별 이동수업, 교과전용교실제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수준별 이동수업을 위해서는 여유교실을 활용해야 하지만, 여유교실이 없는 학교들이 있기 때문이다. 교실신축이나 이에 버금가는 시설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교과전용교실제도 마찬가지이다. 여유교실이 없는 경우는 그림의 떡일 뿐이다. 여유교실이 있는 학교에서 우선 실시하도록 한다고 하지만, 여유교실이 나올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 있는 형편이 아니다. 결국 여유교실문제가 교육격차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이다.
방과후 학교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 강좌를 많이 개설해도 실시할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다. 영어관련 강좌의 경우를 예로들면, 방음장치가 제대로 되어있고, 최신 기자재가 갖추어진 곳을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영어전용교실을 갖춘 학교가 대부분이지만 전용교실 1실로는 영어관련 강좌를 개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최소한 2-3개강좌가 개설되는데, 일반교실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밖에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학습과 관련되는 투자를 해야 할 곳이 많다. 여름철과 겨울철에도 체육수업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체육관의 건설, 도서관 확충, 과학실 확충, 미술실확충, 음악실 확충 및 기자재 확보등 수없이 많다. 학생들이 쾌적한 상태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때 교육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돈 안드는 곳에만 매달리는 정책, 억지로 추진하는 정책등은 어떤 경우라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과감한 투자가 있을때만이 교육경쟁력이 살아나고, 공교육이 활성화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