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 후 귀가하여 들은 말은 늘 같았다. 그 말은?

2016.01.11 09:10:00

1960년대 유년시절 대중목욕탕의 추억

“여보, 당신 대중목욕탕 처음 간 것이 언제지? 나는 지금 기억을 더듬어 보니까 초등학교 4학년이네….”

“그럼 당신네는 그 당시 부자 축에 속한 거야! 그 당시 나는 대중목욕탕 구경도 못했어!”

근래 대중목욕탕이 급격히 사라져가고 있다는 소식이다. 찜질방이나 현대식 사우나의 등장으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대중목욕탕은 점차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욕 대신 집에서 샤워로 대신한다. 목욕하고 싶으면 아파트에서 욕조에 물을 받아하면 언제나 가능하다.

유년시절 대중목욕탕의 추억을 되살려 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4학년을 계산하여 보니 1966년이다. 지금으로부터 50년 전 이야기다. 우리집은 있었으나 집안형편이 넉넉하지 못했다. 그러니 목욕탕 꿈은 꾸지도 못했다. 동네 동생뻘 되는 아이가 목욕을 간다하기에 엄마에게 이야기 하니 선뜻 목욕탕 요금을 주신다. 여간해서 지갑을 열지 않는 엄마이기에 뜻밖이었다.

그 당시 풍습은 대부분 집에서 물을 데워 목욕을 했다. 만약 목욕탕을 간다면 연례행사로 가는 것이다. 1년에 한 번 정도. 그것도 연말을 맞이해서 새해맞이를 위해 가는 것이다. 한 번 목욕탕에 가면 본전을 뽑는다하여 살 한 꺼플을 벗길 정도로 때를 밀었다. 목욕탕에서 나온 사람들 얼굴과 피부는 모두가 연분홍색이었다. 피부가 상하는 줄도 모르고 때를 밀었던 것이다.

남자들의 경우는 목욕시간이 비교적 짧았다. 본인 스스로 오래 했다고 여기지만 끽 해야 한 시간 정도다. 몸 구석구석 때를 여러 차례 밀었건만 더 이상 뜨거운 탕 안에서 버텨내지 못하고 나오고 만다. 귀가하여 어머니에게서 듣는 말은 늘 똑 같다. “왜 이렇게 빨리 왔어? 돈 아깝게 검정개 멱 감 듯 했구만…”이다.

여성들의 경우, 목욕은 물론 목욕탕에서 빨래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들었다. 그래서 여탕에는 이런 경고문구가 붙었었다. “목욕탕에서 빨래를 하지 마시오!” 각 가정에 수도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서 물이 귀하던 시절이었다. 목욕탕은 그 귀하던 물을 펑펑 쓸 수 있었기에 빨래도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당시 목욕탕에 가려면 필수용품이 세수비누, 치약, 칫솔, 수건, 이태리 타월 등이었다. 지금이야 목욕탕에 구비되어 있지만 물자가 귀하던 시절 목욕탕에서 제공되는 것은 제한이 있었던 것이다. 이태리 타월은 때밀이 수건인데 물에 불은 피부는 이태리 타월이 지나가면 굵은 때가 줄줄 밀렸다. 필자의 어머니는 굵은 때를 밀고 하얀 때까지 밀었으니 아마도 피부각질이 많이 상했을 것이다.

그 유년시절 궁금한 것 하나. 어린이들은 온탕이 뜨거워 제대로 들어가질 못했는데 어른의 표정은 신기하게도 무표정 내지는 목욕을 즐기고 있었다. 나도 어른 흉내를 내려고 목욕탕에 온몸을 담갔는데 엉덩이 아랫부분이 얼마나 뜨거운지 채 1분도 안 되어 나오고 말았다. 그 때의 깨달음 하나. “아, 어른이 되려면 목욕탕 뜨거운 물에 참을성이 있어야 하는구나!”

그 당시 목욕탕 내에 때밀이가 있었다. 그러나 때밀이를 이용하면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돈 있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옆에 사람에게 양해를 구하고 서로의 등을 밀어주는 거였다. 그런데 생판 처음 보는 사람에게 말 걸기가 쑥스럽고 때를 밀어달라는 것이 자존심이 상한다고 생각되어서 가능하면 혼자 해결하려 하였다. 서로 돕고 살아야 하는데 사회성이 덜 발달되어 그런 것이다.

그 당시 대중목욕탕을 함께 갔던 우리 동네 동생들, 이제 나이가 50대 후반이리라. 지금쯤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그래도 부모님이 목욕을 자주 가라고 하는 것은 경제적 여유가 있거나 목욕문화가 발달되어 있는 가정이다. 지금 필자는 목욕을 자주 하지 않는다. 목욕 대신 온수 샤워를 한다. 아파트에서는 언제나 더운 물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살기 좋은 세상이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