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자랑’ 출연에서 힘들었던 점은?

2016.09.29 17:18:00

나는 얼마 전 노래자랑에 출전한 적이 있다. 대회 이름을 더 정확히 말하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지역대학 학생회가 주관하는 ‘제34회 상록 대동제 가요제’이다. 약 한 달 전 각과에서 출전한 대표 17명 중 10명이 선발되었다. 노래 실력을 보니 프로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여려 명 보인다.

노래자랑에 출연했다고 하면 아마도 노래를 무척 잘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게 아니다. 노래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노래 듣기도 좋아하고 부르기도 좋아한다. 학창시절부터 음악을 좋아하다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현직에 있을 때에는 흥에 겨워 2차로 노래방도 자주 들렸었다.

이번 대회 출전으로 노래자랑과 가요제의 차이도 알게 되었다. 노래자랑은 단어 그대로 노래 실력을 겨루는 것이다. 그러니까 노래자랑에는 노래 실력 우열 여부와 관계 없이 누구나 출연할 수 있다. 그러나 가요제는 어느 정도 노래 실력을 갖추어야 출연이 가능한 것이다. 노래자랑에는 모니터에 가사가 나오지만 가요제에서는 가사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번 관광학과 대표로 출전한 것은 상을 타기 위함이 아니다. 공직에서 퇴직 후 제2인생 출발로 평생교육 차원에서 학업을 선택하였다. 초중고 대학 학창시절을 떠올리니 남는 것은 학습이 아니라 아름다운 추억이다. 그러니까 이번 가요제 출전도 학창시절 추억 만들기이다. 더 넓게 생각하면 인생 추억 만들기 차원이다.

내가 부른 곡목은 조항조 가수가 부른 ‘남자라는 이유로’이다. 평소 7080 카페나 노래방이서 즐겨 부르는 곡이다. 모니터에 가사나 악보가 나오기 때문에 그냥 그것을 보고 부르면 되었다. 이번엔 가사 없이 부르려니 가사가 떠오르지 않는다. 가사를 암송해야 하는데 가사보고 부르기가 익숙하여 암송이 되지 않는 것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다른 방도가 없다. 무조건 달달 외우고 빈 종이에 외운 것을 써보는 것이다. 후렴은 잘 되는데 1절과 2절 가사가 혼동이 된다. 예선 때에는 객석에 앉은 아내의 수화 도움으로 간신히 틀리지 않고 부를 수 있었다. 본선 출전은 노래 실력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학과별 1명 출전 혜택을 보았다.


나는 학교에 근무하면서 노래자랑에 몇 차례 나간 적이 있다. 2009년 S중학교에서는 서둔동 주민 노래자랑에 나가서 ‘연(鳶)’이라는 노래를 불렀다. 나의 교육칼럼 1집 ‘연(鳶은 날고 싶다’를 연결시켰다. 상 타러 나간 것이 아니라 학교 홍보차원에서 나간 것이다. 사회자에게 질문을 유도하여 초등학교 학부모에게 학교 자랑의 기회를 가졌던 것이다.

2011년 Y중학교에서는 ‘제1회 밤밭축제’에 출연하여 노래 솜씨를 뽐냈다. 여기서는 학부모의 추천으로 나갔는데 수상에서 제외되는 찬조출연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따뜻한 성원에 힘입어 6위를 차지하였다. 부상으로 작은 상품도 받았다. 여기서 부른 곡이 노사연의 ‘사랑’이었는데 가사 암송은 일월저수지를 산책하면서 아내의 도움으로 완전히 외웠다.

가요제 무대에는 나 혼자 올랐던 것이 아니다. 우리 동급생 학우들 10여 명이 현수막을 들고 응원을 보내 주었다. 나는 열창을 하고 학우들은 뒤의 배경이 되어 율동을 선보였다. 연습 없이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몇 몇 선배들은 무대 앞에서 춤으로 흥을 돋우어 주었다. 같은 학과 학우애, 후배애의 표현이다.

나이를 먹으면 흔히 치매를 두려워한다. 치매를 예방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암송과 글쓰기다. 자신이 즐겨 부르는 노래는 가사를 암송하여 써보고 부르는 것이다. 하루 중 있었던 일을 일기로 써보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이다. 교육 동지의 아버지는 93세로 돌아가셨는데 매일 일기를 썼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노래자랑 출연, 노래의 맛을 살리는 감정 표현보다 우선 가사를 외워야 하는 세대가 되었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