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다리 로맨스라는 도발 '질투의 화신'

2016.11.15 14:11:19

아무래도 방송평론가 입장이다보니 일반 시청자처럼 드라마를 중간부터 보거나 중도하차하는 일은 거의 없다. ‘거의 없다’라고 말한 것은 아주 드물게 그런 일이 있어서다. 비근한 예로 KBS 주말극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을 5회부터 보게 되었다. 또 6월 종영한 SBS 월화드라마 ‘대박’은 사극임에도 8회까지 보고 시청을 포기해버렸다.

‘대박’을 중도 포기한 이유는 퓨전사극임을 내세워 너무 막장으로 흘러가는 내용이 결정적이었다. 그 ‘대박’처럼 그만 볼까 하는 충동에 시달린 드라마가 있다. 지난 10일 막을 내린 SBS 수목드라마 ‘질투의 화신’이다. 로맨틱 코미디를 표방했을망정 편마다 자행되는 억지 웃기기가 필자로선 너무 거역스러웠다.

8회 이후 중도하차하고픈 충동을 가까스로 누르고 24회 종영까지 다 본 것은 두 자릿수로 오른 시청률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태양의 후예’가 끝난 4월 이후 이렇다할 히트작을 내지 못한 지상파 3사의 수목드라마들이다. 그런 와중에 10%를 웃도는 시청률은 방송사는 물론 시청자 입장에서도 가뭄에 단 비 격이랄 수 있다.

‘질투의 화신’은 8월 24일 시청률 7.4%(닐슨코리아 전국기준)로 출발했다. 8회 만에 두 자릿수로 올라섰고, 10회에선 자체 최고 시청률 13.2%를 기록했다. 잠깐 경쟁작인 MBC ‘쇼핑왕 루이’에게 자리를 내주기도 했지만, 거의 대부분을 시청률 1위의 수목드라마로 ‘군림’했다. 최종회 시청률은 11.0%다.

‘질투의 화신’은 기상캐스터 표나리(공효진)와 방송기자 이화신(조정석)의 결혼에 골인하는 연애성공기라 할 수 있다. 화신의 절친이자 재벌3세 고정원(고경표)이 가세하여 삼각관계를 이룬 끝의 결말이다. 그들은 ‘갯벌 결투’에 이어 3명 동거 등 도발적이면서도 발칙한, 이른바 양다리 로맨스를 펼친다.

양다리 로맨스의 기반은 당연히 질투이다. 여성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온 질투가 멀쩡한 두 남자에 의해 전복되고 있는 것이라 할까. 어쨌든 질투는 필연 ‘찌질남’으로 이어진다. 나리의 3년 동안 짝사랑을 개무시하던 화신이 180도 달라진 것은 정원의 나리 사랑에 따른 반작용적 질투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황당한 설정이라 일고의 가치조차 없는 드라마인데도 팬들의 지지를 받은 것 역시 그 지점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사랑에 씌어 질투하는 남자들 행태는 화신이나 정원이 새 발의 피일 정도로 유치찬란하기 그지 없다. 요컨대 그런 현실 속 남자들이나 그들을 마주하는 여자들에게 공감되는 재미를 안겨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다. ‘질투의 화신’은 확 채널을 돌려버리고 싶을 만큼 말 안 되는 대목이 너무 많다. 규격화된 로맨틱 코미디의 서사구도를 깨보려는 모험일지 몰라도 납득 안 되는 여러 장면들은 어떤 면에선 시청자에 대한 폭거일 수 있다. 주인공 3인방부터 살펴보자.

극중 SBC는 도대체 어느 나라 방송국인지 여자 숙소에 남자들이 수시로 드나든다. 자는 나리 옆에서 화신은 잠까지 잔다. 게다가 외부인이 분명한 정원은 여자 숙소에 들어가 잠자는 나리에게 이불까지 덮어준다. 뉴스 진행 남녀 앵커가 키스하고 ‘좋았니?’ 운운하는가 하면 보도국장실에서 일개 기자인 화신이 오국장(권해효)더러 나가달라 윽박지르기도 한다.

또한 화신은 불임(不姙)이란 의사 말에 세상 고통을 다 짊어진 듯 괴로워한다. 양다리 로맨스라는 도발이 무색할 만큼 전통적 가부장상의 남자로 갑자기 변해버린 모습이다. 지금은 아이 없이도 얼마든지 잘 살 수 있다는 의식이 팽배해진 세상 아닌가. 그게 아니더라도 화신의 기존 캐릭터와 충돌하고 있어 좀 아니지 싶다.

말 안 되는 끝판왕은 대기자 계성숙(이미숙)과 아나운서 국장 방자영(박지영) 캐릭터다. 그들은 한 남자(화신이 형)와 결혼한데다가 같은 방송국에서 근무한다. 심지어 같은 집에서 살며 한 남자 김락(이성재)과 연애하려고 다투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거의 남자 밝히기 수준이다.

여성비하가 노골적으로 다가오는 이것도 불편한데, 그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간다. CCTV를 피했다지만, 방송국 안에서 머리채까지 잡고 쌈질이라니, 어안이 벙벙할 정도다. 멀쩡히 생모가 있는데도 딸 빨강(문가영)과 사는 문제로 빚어지는 희화 역시 만만치 않다. 생모인 성숙이 빨강에게 무릎꿇고 비는 데선 막장드라마와 다를 바 없어 보이기까지 한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SBS의 열린 의식이라는 역설적 해석이 가능해 씁쓰름한 여운을 남긴다. 유방암 걸린 화신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온갖 설레발과 기행(奇行)이 시청자들에게 방송국에 대한 나쁜 이미지로 각인될 수 있는데도 그런 드라마가 방송되어서다. ‘어디까지나 드라마일 뿐’ 하는 자세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셈이 된 기막힌 역설이다.
장세진 전 교사, 문학⋅방송⋅영화평론가 yeon590@dreamwiz.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