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살이는 한마디로 묻고 답하는 과정의 연속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평상시의 질문이 아닌 특별한 질문을 눈과 귀로 직접 보고 듣고 있다. 국민, 그리고, 왜 국회가 대통령을 탄핵했는가에 대한 답을 대통령 자신이 찾아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그 답을 잘 모르는 것 같다. 이는 자기중심성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문제의 본질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일상생활에서도 사람들은 '당신은 밥값을 제대로 하고 있느냐'고 질문을 받는다. 이 답을 못하면 자신이 속한 회사도, 학교도, 국가도 무너지지 마련이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세월호 침몰 당일 '대통령의 7시간'을 "대통령은 뭐 하는 것인가?"라고 대통령에게 묻고 있는데 아직도 명쾌한 답을 하지 못하고 있어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이에 진실된 답을 기다리면서 국민은 힘들어 한다.
얼마전 해외 여행지에서 요리사가 즉석에서 요리를 해 제공하는 식당에 간 적이 있다. 요리사는 요리 도중에 요리도구를 이용하여 쇼맨십으로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재미를 제공하기 위한 행동을 했다. 이를 지켜본 3살 지난 손자가 요리사 아저씨에게 "저 요리사는 요리 안 하고 뭐하는 거야?"라고 갑자기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외국인 요리사는 외국인이기에 아이가 한 말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자신의 행동 메뉴얼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었다. 이처럼 요리사와 손자 사이에 소통이 안되자 아이가 질문을 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아마 이후 답을 하지 않았기에 손자에게는 지금도 영원한 질문으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밖에는 차가운 바람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 겨울로 접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아침이다. 이처럼 찬바람과 함께 세상에도 따스한 말보다는 가슴을 찌르는 말들이 넘쳐나고 있다. 말 바람이 너무 차다. 소통이 안되는 말들이 난무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 가장 화나는 일은 전혀 상관이 없는 말로 인간을 모욕감에 빠뜨리는 행위이다. 이런 현실을 지난 6~7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청문회에서도 보았다. 여야 특위위원들이 증인들을 집중 추궁했으나 새로운 진실을 밝혀내기보다는 엇갈린 증인 진술로 의혹만 증폭됐고 별 성과 없이 끝났다. 알맹이 빠진 청문회가 된 것은 핵심 증인들의 불출석, 모르쇠로 일관한 증인들의 불성실한 답변이 큰 원인이지만 국민을 대리한 국회의원들의 준비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을 지켜본 국민들은 "저 국회의원은 지금 무슨 질문을 하는거야?"라고 묻는 것에 대하여 어떤 답을 해야할 것인지 생각해 봐야한다.
청문회는 그야말로 핵심 사건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질문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국회의원은 대기업 총수들의 나이와 직책을 묻는가 하면 "며느리의 국적이 어디냐"는 등 문제의 본질과 전혀 동떨어진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기업총수에게 면박을 주거나 호통을 치는 구태도 되풀이 됐다. 국회의 국정조사는 '최순실 게이트' 의혹 당사자들을 국민 앞에 세워 진상을 밝혀내기 위한 것이지 의원들의 쇼맨십 과시의 장이 아니며, 인간에게 모욕을 주는 장소는 아니다. 수준 이하의 막말과 호통은 국민의 답답함을 풀어주기보다는 국회의 권위만 떨어뜨릴 뿐이다. 이는 국회의 위상, 국회위원의 품격과도 관계된 중대한 문제라 생각한다.
국민이 국회의원에게 원하는 것은 철저한 준비와 증인이 꼼짝 못할 송곳같은 질문, 논리적인 추궁으로 실체적 진실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회는 앞으로도 몇 차례 '최순실 게이트' 관련 청문회를 개최하기로 계획되어 있는데 이번에도 증인들을 대거 불러놓고 이미 보도된 내용만 확인하는 맥 빠진 청문회에 그친다면 국민은 크게 실망할 것이다. 해당 의원님들은 남은 청문회에서 더 분발하고 실력과 품위로 진상 규명에 집중하여 국민이 맡겨준 국회의원의 책임을 잘 수행해 주기를 바란다. 연일 기록을 경신한 촛불은 바로 부패하고 무능한 권력에 대한 국민의 권력회수를 위한 궐기이자 대의민주주의의 보정운동이며, 이것이 대의정치의 근본임을 잊지 말기를 기억하면서....